Why did the U.S. seize that ship?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Why did the U.S. seize that ship? (KOR)

JUNG HYO-SIK
The author is a Washington correspondent of the JoongAng Ilbo.

The Wise Honest, a North Korean cargo vessel recently seized by the United States, has emerged as a variable in inter-Korean relations. On Tuesday, North Korean Ambassador to the UN Kim Song threatened: “Think what consequences it will bring!” The next day, Han Tae-song, North Korea’s ambassador to the UN in Geneva, said, “North Korea would not obsess over resuming negotiations if the United States does not make a decision.” North Korea presented returning the Wise Honest as a condition to resuming talks.

But Washington does not budge. After Kim’s interview, the U.S. State Department said that sanctions will continue, though diplomatic negotiations were open. U.S. Treasury Secretary Steven Mnuchin said in the House Financial Services Committee that U.S. President Donald Trump was firm on continuing both the UN and U.S. sanctions on North Korea, as they had an important effect on bringing North Korean leader Kim Jong-un to the negotiation table.

There is a reason why the United States cannot back down on the Wise Honest issue. That involves a loophole in the U.S. dollar settlement network. According to the seize warrant released by the U.S. Department of Justice, the Wise Honest left the Nampo Port in Pyongyang on March 14 last year with 25,000 tons of coal and was detained in Indonesia on April 2 last year. The U.S. authorities returned the coal and crew members to North Korea and seized the vessel on charges of money laundering to finance certain illegal acts under the 1974 International Emergency Economic Powers Act.

The Wise Honest used two New York banks to wire dollars for operation and maintenance costs. Evidence of using a bank in New York was discovered from bills and emails related to the Wise Honest’s cargo and maintenance parts purchased from November 2016 to January 2017. On coal smuggling in March 2018, a total of $750,000 was wired through an account in another bank in New York. A fake document indicating the port of loading as Nakhodka, Russia, instead of Nampo, was used.

International financial transactions using dollars go through banks in New York. The ability to expel banks and companies aiding North Korea’s money laundering from the international settlement network is at the hands of the United States. As such, the United States cannot return the Wise Honest easily, as it apparently avoided sanctions using U.S. institutions. Mnuchin said the United States will tighten sanctions, focusing on international financial transfers and money laundering. Korean banks need to pay heed to the developments, as they were shaken by warnings from the Treasury Department over inter-Korean financial cooperation projects shortly after the Pyongyang summit between Moon and Kim in September 2018.



JoongAng Ilbo, May 24, Page 29

미국이 와이즈 어니스트호 몰수하는 이유 정효식 워싱턴특파원
미국이 압류한 북한 화물선 와이즈 어니스트(Wise Honest)호가 북·미 관계의 변수로 부상했다. 북한 김성 유엔대사가 21일 “앞으로 어떤 결과를 낳을지 심사숙고하라"고 위협한 다음 날 한대성 제네바주재 대사도 “큰 결단을 하지 않으면 협상 재개에 집착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와이즈 어니스트호 반환을 대화 재개의 조건으로 내건 셈이다.
하지만 미국은 꿈쩍도 안 한다. 국무부는 김 대사 회견 이후 “외교적 협상엔 열려 있지만, 제재를 계속 집행할 것”이라고 했다. 스티브 므누신 재무장관은 하원 금융위에서 “대통령은 유엔과 미국의 대북 제재를 모두 계속 집행하는 데 단호하다”며 “제재는 김정은 위원장을 협상 테이블로 불러내는 데 매우 중요한 효과가 있었다”고 말했다.
미국이 와이즈 어니스트호 문제에서 물러설 수 없는 이유가 있다. 대북 제재 버팀목인 미국 달러 결제망에 구멍이 뚫린 사례이기 때문이다. 미 법무부가 공개한 몰수 소장에 따르면 와이즈 어니스트호는 지난해 3월 14일 평양 남포항에서 석탄 2만 5000톤을 싣고 출항했다가 같은 해 4월 2일 인도네시아에서 억류됐다. 석탄과 선원들은 돌려주는 대신 배를 압류한 뒤 몰수를 추진하는 근거를 1974년 제정된 국제긴급경제권한법(IEEPA) 상 특정 불법 행위를 촉진하기 위한 돈세탁 혐의라고 기재하고 있다.
와이즈 어니스트호가 운항과 정비 등에 달러 송금 제휴 계좌로 미국의 뉴욕 은행 두 곳을 활용했기 때문이다. 2016년 11월~2017년 1월 와이즈 어니스트호의 하역과 정비 부품을 구매하는 청구서와 이메일에선 뉴욕 남부의 첫 번째 은행 지점을 활용한 증거들이 발견됐다. 지난해 3월 석탄 밀수와 관련해선 모두 75만 달러를 뉴욕의 두 번째 은행 계좌를 통해 송금했다. 석탄 선적지를 남포가 아니라 러시아 나홋카로 기재한 허위 문서를 활용했다.
달러를 통한 국제 자금 거래는 미국 뉴욕 은행들의 계좌를 통한다. 북한 돈세탁에 조력하는 전 세계 은행과 기업을 국제결제망에서 퇴출할 수 있다는 게 미국이 대북 제재 이행을 강제할 수 있는 힘이다. 그런데 미 금융기관을 활용해 버젓이 제재를 회피한 와이즈 어니스트호를 쉽게 돌려보낼 수는 없는 상황이다. 므누신 장관은 오히려 국제 자금 이체와 돈세탁에 초점을 맞춰 제재를 강화하겠다고 나섰다. 지난해 9월 평양 정상회담 직후 남북 금융협력 사업 준비를 놓고 미 재무부의 경고 움직임에 떨어야 했던 한국 은행들도 주목해야 할 대목이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