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feguard our fiscal health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Safeguard our fiscal health (KOR)

President Moon Jae-in presided over an extraordinary meeting to set the outlines of his administration’s fiscal policies for the next five years. The meeting in the Blue House should have focused on finding ways to save our economy and address the worsening fiscal condition resulting from the government’s over-the-top spending to cope with the coronavirus crisis.  
 
In the meeting on Monday, President Moon accentuated the need to “mobilize all possible fiscal tools as if in wartime.” But he did not mention how to restore our fiscal integrity, except for stressing the need to raise our growth rate to regain fiscal health over the long haul. While citing the need for readjusting budget plans to deal with the repercussions of the pandemic, Moon praised the relative health of our fiscal condition as compared to other developed countries. “The ratio of our national debt against GDP is much lower than the OECD average,” he said.  
 
Moon made similar remarks last year. He raised questions about the requirement of Korea to manage the ratio in the low 40 percent range. “International organizations mostly apply the 60 percent cap,” he retorted. “We can afford an aggressive fiscal input.” His comment eventually led to the unprecedentedly large budget of 512.3 trillion won ($412.5 billion) for this year. Moon’s latest remarks suggest a strong determination to maintain an expansive fiscal policy from next year on.  
 
Given the colossal ramifications of the novel conronavirus, the government must save the economy from collapsing. But if it blindly pushes expansive fiscal policies, it will do damage that will be hard to reverse. Given a plethora of imminent challenges such as an aging population, it is simply not right to believe in a 60 percent ceiling.  
 
Lee Chang-yong, IMF director for Asia and the Pacific, agreed that it is irresponsible for the president to champion the 60 percent limit. Fitch Ratings warned that if Korea’s debt ratio against GDP soars to 46 percent by 2023, it could help downgrade Korea’s credit rating. Bloomberg went a step further. It expected the ratio of Korea to reach 50 percent next year, which could weaken the Korean won. As a result of the government’s persistently expansive fiscal policy, each citizen had to pay over 10 million won for tax and social insurance last year.  
 
National coffers are not a limitless fountain. The government must set up strict fiscal guidelines as soon as possible. Germany was able to achieve the strongest economy in Europe after mandating its new national debt should not exceed 0.35 percent of GDP annually. Italy took a different path. Look what happened. The government must get wiser before it is too late.
 
JoongAng Ilbo, May 26, Page 30 
 
 
 
국가재정전략회의에 건전성 회복 방안은 없었다
 
어제 문재인 대통령이 주재한 ‘국가재정전략회의’는 향후 5년간 나라 살림의 큰 틀을 정하는 자리였다. 핵심은 두 가지가 돼야 했다. 하나는 직면한 경제위기 극복 대책이고, 다른 하나는 그로 인해 손상될 재정 건전성의 중기 회복 로드맵이다.  
 
위기 극복에 대해 문 대통령은 “전시 재정을 편성한다는 각오로 역량을 총동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재정 건전성 회복 방안은 없었다. "성장률을 높여 건전성을 회복하는, 긴 호흡의 선순환을 도모해야 한다"고 원론적인 입장만 밝혔을 뿐이다. 급격한 세출 증가를 의식해 “뼈를 깎는 정부 지출 구조조정이 필요하다”면서도 “우리 재정은 OECD 국가 가운데 매우 건전한편이며, 국가채무 비율은 OECD 평균보다 크게 낮은 수준”이라고 했다.  
 
지난해 전략회의에서도 문 대통령은 비슷한 발언을 했다. “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을 40%대 초반에서 관리하는 근거가 뭐냐”며 “국제기구는 채무 비율 60% 정도를 건전성의 기준으로 삼는다. 우리는 적극 재정을 펼 여력이 있다”고 했다. 대통령의 말은 사상 유례없는 수퍼 예산으로 이어졌다. 올해 발언을 놓고 “내년에도 확장 재정 기조를 유지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낸것”이라는 해석이 나오는 이유다.  
 
지금은 비상시국이다. 당장은 재정을 쏟아부어 경제를 살려야 한다. 그러나 위기 뒤에도 확장 재정을 이어가서는 곤란하다. 그건 미래에 대비할 여력을 갉아먹는 일이다. 한국은 특히나 대처할 일들이 쌓였다. 고령화 속도는 세계에서 제일 빠르고, 통일을 준비해야 한다. 그런데도 “채무 비율 60%까지는 괜찮다”는 것은 적절치 않다.  
 
이창용 IMF 아·태 담당 국장은 채무 비율 60%를 “무책임한 소리”라고 비판했다. 신용평가사 피치는 “한국의 채무 비율이 2023년 46%까지 늘어날 경우 국가 신용등급을 떨어뜨리는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미 피치의 경고선은 넘어설 게 확실하다. 내년에 채무 비율이 50%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블룸버그)도 있다. 국가채무 급증은 자칫 환율 하락과경제난으로 이어질 수 있다. 확장 재정 등으로 인한 국민 부담 증가는 이미 현실이 됐다. 국민 1인당 세금ㆍ사회보험 부담액은 지난해 1000만원을 넘어섰다. 국민 부담 증가 속도는 내수 위축을 걱정해야 할 정도로 빠르다.
 
나라 곳간은 화수분이 아니다. 급할 때 퍼 쓴 뒤에는 다시 채워 놓아야 마땅하다. 재정 건전성 회복 로드맵과 재정운용 준칙을 하루빨리 만들어야 한다. 독일은 ‘한 해 신규 국가채무를 GDP의 0.35% 이상 발행할 수 없다’는 등의 재정준칙을 만들고 실천해 유럽에서 가장 튼튼한 경제 강국이 됐다. 반대로 나랏돈 뿌리기에만 열중했던 이탈리아는 툭하면 유로존을 재정위기에몰아넣는 신세로 전락했다. 어떤 길을 택해야 할지는 자명하지 않은가.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