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triotism and oversensitivity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Patriotism and oversensitivity (KOR)

PARK SUNG-HOON
The author is a Beijing correspondent of the JoongAng Ilbo.


On a television program, singer Lee Hyo-ri said, “How about using a Chinese stage name, Mao?” The aftermath was fierce in China. On the surface, it seems that the Chinese people were unilaterally condemning the joke. However, when I hear opinions in-person, the context is a bit different.
 
On Lee’s Weibo account, 27,128 comments have been posted as of 10 a.m. on Aug. 27. She hasn’t posted since May 2019, and comments have been added to the last post on her birthday. Comments are too harsh to be quoted.
 
“Congratulations on your funeral day” got 38,000 likes. Tens of thousands of people liked comments such as “You should know what you say,” “Don’t even dare to come to China ever,” and “Do not stop the ban on Korea.”
 
Comments on articles on Chinese media are the same. “Mao is a divine being that no one can insult. In the past, someone like you could be beaten to death” or “You don’t know Mao’s status because your country never had a great figure.”
 
I grew curious. Does Lee’s “Mao” comment deserve such insults? I asked local Chinese people. A member of the Chinese People’s Political Consultative Conference (CPPCC) said that as Mao was not a common last name in China, it was natural for Chinese people to be reminded of Mao Zedong. But he said that Lee surely wasn’t referring to Mao Zedong. The tone was not something to get so upset about.
 
A man in his 30s advised that I look at the Chinese translation of the video. When she said, “How about Mao?,” it was translated to the Chinese character for Mao Zedong. He said that he was not aware of it at first, but it seemed to be a problem as public opinion grew hostile. “Mao is still a symbolic figure among young people, but not enough to result in such intense responses.”
 
He found it questionable how young people who know Lee Hyo-ri — not those who lived through the 1960s and 70s — could react so vehemently. Another woman in her 30s said she felt like someone was orchestrating the mood when she read the comments.
 
Chinese people’s opinions cannot be generalized. They may have been less hostile because I am a Korean reporter. But the difference in sensitivity online and offline was quite clear. Amid the U.S.-China discord, is the patriotism trend in China being manifested online? Or could there be an external intervention to create public opinion?


2020년 중국과 이효리

한 예능프로그램에서 “예명으로 중국식 이름인 마오 어때요”라고 말한 이효리 발언의 후폭풍이 중국에서 여전히 거세다. 현지 중국인들의 반응은 표면적으론 비난 일색이다. 그런데 직접 얘기를 들어보면 다소 결이 다르다.

중국식 트위터인 중국 웨이보 이효리 계정. 27일 오전 10시 기준으로 댓글 2만7128개가 달렸다. 2019년 5월 이후 글을 올리지 않았는데 마지막 글인 생일 알림에 댓글이 달리기 시작했다. 내용은 그대로 인용하기 힘들만큼 원색적인 비난이다. “너의 제삿날을 축하한다”는 글에 달린 ‘좋아요’가 3만 8000여 개. “쥐뿔이나 알고 말해라”, “앞으로 중국 들어올 생각마라”, “한한령 중단하지 마라”는 비방글에도 각각 수만 명이 호응했다.

중국 매체들이 쏟아낸 기사 댓글들도 마찬가지. “마오는 신과 같은 존재로 누구도 모욕해선 안 된다. 예전 같았다면 너같은 사람은 때려 죽여도 지나치지 않았다”, “너희 나라는 지금까지 위대한 인물이 나오지 않아서 마오의 위상을 모를 것이다”…

궁금했다. 이효리의 ‘마오’ 발언이 이 정도로 비난받을 일인가. 중국 현지인들의 의견을 들어봤다. 중국 국정운영 자문기구인 정협(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 위원인 50대 남성은 “마오란 성이 흔치 않기 때문에 그 말을 들으면 중국인들이 마오쩌둥(毛澤東)을 연상하는 것이 당연하다”면서도 “마오쩌둥을 염두에 두고 한 말은 아니지 않냐”고 되물었다. 별로 흥분할 일은 아니라는 뉘앙스였다.

한 30대 직장 남성은 해당 영상의 중국어 번역본을 보라고 조언했다. 확인해보니 “마오 어때요?”란 대목이 마오쩌둥의 성인 ‘마오(毛)’로 번역돼 있었다. 그 역시 “처음 봤을 땐 몰랐는데 자꾸 그런 여론이 생기니 약간 문제가 있는 것 같긴 하다”면서도 “젊은층에서 마오쩌둥이 여전히 상징적 존재이긴 하지만 이렇게 반응할 정도는 아니다”라고 했다. 1960~70년대를 살아온 세대라면 모르겠지만 이효리를 알만한 젊은층이 이렇게까지 반발하는 건 의아하다는 것이다. 또 다른 30대 여성은 “댓글들을 읽어보면 누군가 작업을 하고 있다는 느낌이 든다”면서 “직접적으로 마오쩌둥을 언급한 것도 아닌데 그런 내용의 글은 하나도 찾아볼 수 없고, 댓글 내용이 대부분 비슷하다”고 말하기도 했다.

중국인 전체 의견으로 일반화할 수는 없다. 한국 기자임을 감안해 그렇게 답했을지도 모를 일이다. 하지만 온라인과 오프라인 여론의 감도차는 비교적 분명했다. 최근 미·중 갈등 속에 중국에서 불고 있는 애국주의 열풍이 온라인에서 발현되고 있기 때문일까, 아니면 여론 형성에 외부 개입이 있었기 때문일까.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