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rong choice for top envoy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Wrong choice for top envoy (KOR)

 In a partial cabinet reshuffle on Wednesday, President Moon Jae-in replaced Foreign Minister Kang Kyung-wha with Chung Eui-yong, former director of the National Security Office (NSO). The minister for culture and sports and minister for SMEs and startups are also to be replaced with lawmakers from the ruling Democratic Party (DP), both members of a pro-Roh Moo-hyun group who served in the Roh Blue House. The opposition People Power Party (PPP) criticized the replacements as another example of “revolving-door appointments.” A spokesman for the PPP lamented a “critical lack of candidates for ministerial positions” in the ruling camp.

Outgoing Foreign Minister Kang has been under attack for incompetence for three years and seven months since her appointment shortly after the launch of the liberal administration. She earned nicknames such as the “invisible minister” and a “doll” after the Korea-U.S. alliance and Korea-Japan relations deteriorated markedly. And yet, President Moon steadfastly kept her around on the job. In the meantime, Korea found itself isolated on the diplomatic stage.

After Moon’s nomination of Chung as his new foreign minister, diplomatic experts linked it to the need for the president to rekindle the defunct Korean Peninsula Peace Process with Chung before Moon’s term expires in May 2022. In a New Year’s press conference, the president recalled the 2018 U.S.-North Korea summit in Singapore and proposed to start all over. As head of the NSO in the Blue House, Chung mediated the summit between outgoing U.S. President Donald Trump and North Korean leader Kim Jong-un.

The problem is that new U.S. President Joe Biden’s administration has very different ideas. Biden regards the Trump-Kim summit mediated by Chung as a “reality show without an outcome,” and believes it only helped raise the North Korean leader’s international stature. Asked about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in a Senate confirmation hearing on Tuesday, Antony Blinken — Biden’s pick for Secretary of State and Chung’s counterpart — said, “It’s a problem that has not gotten better — in fact, it’s gotten worse.” He said he will start “a full review of the U.S. approach to North Korea.” We seriously wonder why Moon picked Chung, who brokered the botched Kim-Trump summit in Singapore. Talk about backing a losing horse.

On the issue of whether to renew the General Security of Military Information Agreement (Gsomia) between Seoul and Tokyo in 2019, Chung did not share Washington’s position favoring an extension. When Korea-Japan relations deteriorated, he could not mend fences. Coupled with a local court’s ruling on compensation for former comfort women, Korea and Japan face an uphill diplomatic battle. Is he the person to re-establish the alliance and address the ongoing conflict with Japan? Hardly.


정의용 외교가 바이든 시대에 맞는다고 생각하나

문재인 대통령이 어제 3개 부처의 개각을 단행했다. 이번 인사로 현 정부 최장수 강경화 장관이 정의용 대통령 외교안보특별보좌관으로 교체된다. 박양우 문화체육관광부 장관과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임에는 각각 황희·권칠승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내정됐다. 야당은 ‘돌려막기·회전문 인사’라고 비판했다. 정 후보자는 이 정부 초대 국가안보실장을 3년간 지냈고, 황·권 후보자는 노무현 청와대 출신들이 모인 ‘부엉이모임’ 출신이다. 최형두 국민의힘 대변인은 “대통령 측근 말고는 장관 후보가 그리 없나”고 꼬집었다.

강경화 장관은 재임 내내 ‘무능론’에 시달렸다. 제 목소리를 내지 못해 ‘보이지 않는 장관’ ‘인형’이란 오명까지 썼다. 한·미 동맹, 한·일 관계가 위기에 처했다는 우려가 터져나왔다. 그런데도 문 대통령은 3년7개월이나 고집스럽게 그에게 외교부 장관을 맡겼다. 그 사이 한국 외교는 고립무원의 신세가 됐다.

문 대통령이 사실상 자신과 임기를 함께할 외교 수장으로 정 후보자를 택했다. 이를 두고 문 대통령이 남은 임기 외교의 방점을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재가동에 둔 것이란 해석이 나온다. 문 대통령은 지난 18일 신년 기자회견에서 2018년 싱가포르 북·미 회담을 소환하며 "싱가포르 선언에서 다시 시작하자"는 발언을 했다. 정 후보자는 국가안보실장으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회담을 중재했다.

문제는 정 후보자 인사와 맞물려 20일(현지시간) 출범하는 조 바이든 행정부의 생각은 다르다는 거다. 바이든은 정 후보자가 중재한 북·미 회담을 ‘성과 없는 리얼리티 쇼’로 규정하고 실패작으로 평가한다. 김정은 위원장의 정치적 위상만 높여주고 실질적으로 얻은 건 없다는 시각이다. 토니 블링컨 미 국무부 장관 지명자는 지난 19일 상원 인준청문회에서 북핵 문제에 대해 “나아지지 않고 더 나빠졌다”며 “우리가 하려는 가장 첫 번째 일은 전반적인 접근법을 재검토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한국 정부가 트럼프를 통해 실현하려 했던 톱다운 방식의 재검토를 의미한다. 이런 시각의 바이든 행정부가 출범하는 시점에 ‘실패한’ 북·미 회담의 중재자라 여기는 인사를 외교 수장으로 내세운 한국 정부에 대해 미국은 의구심을 지닐 수밖에 없다. 보다 능력 있고 참신한 인물이 필요한 시점이었다.

정 후보자는 2019년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지소미아) 협상 과정에서 유지를 강하게 바라는 미국과 견해차를 보였다. 한·일 강제징용 문제가 불거졌을 때도 성과를 내지 못했다. 최근엔 위안부 판결까지 더해져 한·일 관계는 더욱 복잡해졌다. 새로 판을 짜야 하는 한·미 동맹, 갈등이 격화된 한·일 관계 등 산적한 외교 현안을 해결하는 데 정 후보가 적임자가 아니란 생각을 떨치기 어렵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