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covering the truth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Uncovering the truth (KOR)

 KANG HYE-RAN
The author is the head of the international team of the JoongAng Ilbo.


Before I became the head of the international team, the last issue I covered in the culture team was the metal relics from the early Joseon period excavated in Insa-dong, Seoul. More than 1,600 metal movable types estimated to have been made between Sejong and Sejo periods in the 15th century and other various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inventions were found. Aside from the hangul metal types retaining the original notation method at the time, Chinese character metal types were found,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some of them, at least eight, are likely to be Gapinja cast in 1434. If true, it is expected to have a global impact as the oldest existing metal type with identified production date.

National pride filled me. But let’s say that the Joseon metal type is confirmed, created before Gutenberg’s movable type in 1440. Does it change history? Gutenberg’s metal type led to the rise of commercial publishing and made a critical contribution to the Western knowledge industry. How about the metal types of Joseon? Oh Gyeong-taek, head of the excavation team, said that the relics were found in Insa-dong, where middle-class people lived, and it was unusual to find the metal products which were normally only used in the highest offices, including the royal court. In the early Josen period before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printing was controlled by the government, and it is generally believed that commercial publishing spread after the 18th century.

The publishing and printing culture that blossomed in the 15th century was halted by a number of political upheavals, wars and limits of class system. The creation of hangul was similar. John Man’s 2003 book “The Gutenberg Revolution: The Story of a Genius and an Invention that Changed the World,” says “Even an invention of undisputed brilliance by the emperor himself was not enough to overcome the weight of conservatism, with nowhere near the impetus to inspire technical and social change.”

“What matters is making a story and accumulating new content from the value,” said Lee Jae-jeong, a researcher who found 30 hangul types from hundreds of thousands of metal types from the National Museum’s collection in 2007. The significance of the invention and excavation of the metal types depends on added value.

Professor Ok Jeong-young of the Central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said, “We need to study how the publishing systems in the East and the West were different and how each society’s desire and pursuit were different.” It is scholars turn to uncover the “truth.”


조선 금속활자가 전하는 말


국제팀장에 발령 나기 전 문화팀에서 현장 취재한 마지막 이슈가 서울 인사동에서 출토된 조선 전기 금속유물이었다. 15세기 세종~세조 때 제작된 것으로 보이는 금속활자 1600여점을 포함해 각종 과학기술 발명품이 무더기로 나왔다. 훈민정음 창제 당시 표기법을 간직한 한글 금속활자들 외에 한자 금속활자 가운데 일부(최소 8점)는 1434년 주조된 갑인자일 가능성도 제기된다. 사실이라면 제작연대가 확실한 금속활자의 최고(最古) 실물이란 점에서 세계적인 파장이 예상된다.

여기까진 속된 말로 '국뽕'이 차오른다. 그런데 서양의 구텐베르크가 제작한 금속활자(1440년대)보다 앞선 조선 금속활자가 실물로 확인됐다고 치자. 그런다고 역사가 바뀌는가. 구텐베르크의 금속활자는 상업출판의 부흥으로 이어져 서양 지식산업 발전에 결정적 기여를 했다. 반면 조선 금속활자는 어땠나. 이번 유물이 나온 인사동 유적지만 해도 중인들의 거주지라 “왕실 등 최고 관청에서만 취급하던 금속제품이 이곳에서 발견된 건 희한한 일”(오경택 발굴조사단장)이라고 했다. 적어도 조선 전기(임진왜란 이전)까지 인쇄술은 중앙통제로 유지됐고 상업출판이 가시화된 것은 18세기 이후란 게 중론이다.

“주자(鑄字)를 만든 것은 많은 서적을 인쇄하여 길이 후세에 전하려 함이니, 진실로 무궁한 이익이 될 것이다.” 세종실록 18권은 이렇게 전하지만 현실은 달랐다. 15세기에 나름 꽃을 피웠던 출판‧인쇄문화는 여러 정변과 전쟁, 계급사회의 한계 속에 정체됐고 특히 금속활자 보급은 억제됐다. 한글 창제 또한 마찬가지였다. 오죽하면 평전『구텐베르크 혁명』(예지, 2003)의 저자 존 맨이 이렇게 썼을까. “왕(세종)이 직접 뛰어난 총기를 발휘하여 이룬 발명이라 하더라도 보수주의의 무게를 극복하기에는 충분하지 않았으며, 따라서 기술적·사회적 변화로 나아가는 계기는 어디에도 없었다.”(156쪽)

“설사 구텐베르크보다 앞선 실물이라 한들 최초·유일은 순간이고 앞으로 얼마든지 변화할 수 있다. 오히려 이들 유물의 가치를 스토리텔링화하고 새로운 콘텐트로 축적해 갈 일이 남았다.” 2007년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수십만자의 금속활자 가운데 15세기 한글활자 30여자를 최초로 찾아냈던 이재정 학예연구관의 말이다. 활자 발명도, 발굴도 그 부가가치를 어떻게 창출하느냐에 달렸단 얘기다.

그런 점에서 옥영정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의 말도 의미심장하다. “무엇이 낫다 그르다가 아니라 동서양 출판 시스템이 어떻게 달랐고, 각 사회의 욕망과 추구하는 바가 무엇이었나 탐구해야 한다.” 깊은 잠에서 깨어난 금속활자의 ‘진실’을 후학들이 캐낼 차례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