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buck stops there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The buck stops there (KOR)

On Tuesday, President Moon Jae-in issued two stunning messages. The first came in a seven-minute speech to members of his Cabinet in the morning. He mentioned the catastrophic outbreak of Covid-19 among sailors of the Cheonghae unit aboard a Navy destroyer dispatched to the waters off eastern Africa. His mention was brief and in the last part of his speech. Most of his remarks were devoted to reprimanding the military authorities. “Despite our military’s swift response to the incident, including dispatching a transport plane and bringing the sailors back home, the military can hardly avoid responsibility for a lax reaction to the outbreak,” he said. “I hope the military humbly accepts such criticism and takes better care of other Korean troops overseas.”

His second message was posted on Facebook. It was about his wish for a safe return of a famous mountaineer with a physical impairment from the Himalayas after he went missing after a climb. “I’m very upset. At the request of our Foreign Ministry, a Pakistani chopper is scheduled to fly to the spot of the accident, and the Chinese Embassy is also mobilizing all available resources to rescue him,” the president wrote.

Moon’s starkly different reactions to the two tragedies show a lot. The infections of 247 among 301 sailors aboard the warship is arguably the worst crisis in naval history and a critical mishap resulting from the negligence of our military and government. The shocking retreat of the sailors from a peacekeeping mission overseas is a serious issue involving our defense capabilities. We are dumbfounded that the Blue House,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and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KDCA) are trying to shift responsibility to one another.

It all points to the responsibility of the president in the Blue House. Moon must not forget that he is both the head of state and commander in chief. He should have dealt with the tragedy at sea just as he did with the missing climber. And yet, the president kept mum in a meeting with his aides the previous day and blamed the military for the crisis the following day. Prime Minister Kim Boo-kyum and Defense Minister Suh Wook apologized for the crisis at sea to the people on his behalf.

Let’s compare the case to an accident in which a fishing boat capsized in the waters off Incheon in December 2017. At that time, Moon received reports from officials and gave orders in real time. In a meeting with his senior aides the next morning, Moon accentuated the responsibility of the government to rescue the fishermen and prevent such a misfortune in the future. “When it comes to the lives and safety of the people, the government must hold limitless responsibility,” he said. Are military accidents really different from civilian ones?

In his inaugural address in May 2017, Moon vowed to take responsibility for all mistakes by the government. Deviating from the promise, however, he chose to apologize or keep silence when the need arose over the last four years. He prefers to put the blame on others.
 
 
아덴만 참사, 군통수권자인 대통령은 사과하지 않았다
 
문 대통령, 그제 침묵 이어 어제 군 탓
선별적 사과와 선택적 침묵, 개탄할 일
 
 
문재인 대통령은 어제 두 개의 메시지를 내놓았다. 처음은 오전 국무회의에서의 7분여 발언이었다. 최대 현안이랄 수 있는 문무대왕함 승조원의 코로나19 집단감염에 대해선 마지막에야 짧게 언급했고 그마저도 군을 질책하는 내용이었다. 문 대통령은 “신속하게 군 수송기를 보내 전원 귀국 조치하는 등 우리 군이 나름대로 대응했지만 국민의 눈에는 부족하고 안이하게 대처했다는 지적을 면하기 어렵다”고 했다. 이어 주어를 생략하는 특유의 화법으로 “이런 비판을 겸허하게 받아들이면서 치료 등 조치에 만전을 기하고, 다른 해외 파병 군부대까지 다시 한번 살펴주기 바란다”고 했다. 비판받는 주체 역시 군으로 해석되는 주문이었다.
 
두 번째 메시지는 페이스북에 올린 글이었다. ‘열 손가락 없는 산악인’ 김홍빈 대장의 실종 소식에 무사 귀환을 기원하는 내용이다. 문 대통령은 “참으로 황망하다”면서 “외교부의 요청으로 오늘 파키스탄의 구조헬기가 현장으로 출발할 예정이고, 또 중국대사관에서도 구조활동에 필요한 가용자원을 동원하고 있다”고 전했다.  
 
너무나도 대비되는 어조이자 자세였다. 청해부대원 301명 중 247명이 확진된 건 세계 해군사에서도 유례없는 집단감염이자, 군과 정부의 무관심·태만이 낳은 인재(人災)였다. 또 해군 장병들이 작전을 완수하지 못하고 공군기로 퇴각해야 했다는 점에서 국방 문제였다. 더욱이 청와대와 국방부·질병청이 책임 떠넘기기까지 하고 있으니 행정 난맥상이기도 하다. 누구도 아닌 바로 문 대통령의 책임이란 의미다. 국가의 원수이자 행정부 수반, 그리고 군 통수권자로서 본분을 잊어선 곤란하다. 문 대통령은 김 대장의 무사 귀환을 바라는 것과 똑같은 심정으로 청해부대 참사에도 진정으로 ‘황망’해야 할 일이었다. 문 대통령은 그런데도 전날 수석·보좌관회의에선 아예 입을 다물었고 어제는 군 탓을 했다. 대신 김부겸 국무총리와 서욱 국방부 장관의 사과로 끝냈다.  
 
2017년 12월 인천 앞바다에서 일어난 낚싯배 전복 사고와도 비교해 보자. 당시 문 대통령은 이른 아침부터 실시간 보고를 받고 지시를 했다. 그러곤 다음 날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이유 여하를 막론하고 이 같은 사고를 막지 못한 것과 또 구조하지 못한 것은 결국 국가의 책임이다. 국민의 생명과 안전에 관한 국가의 책임은 무한책임이라고 여겨야 한다”며 사과했다. 민간 사고에도 무한책임을 강조하던 마음가짐이었다면 문 대통령이 어제 군 작전 중 참사에 대해 그리 말해야 했을까. 분명 아닐 것이다.  
 
문 대통령은 “잘못한 일은 잘못했다고 말하겠다”고 한 취임 약속과 달리 언젠가부터 선별적 사과와 선택적 침묵을 오가곤 했다. 대통령에게 귀책사유가 있음에도 남 탓을 해왔다. 군 통수권이 걸린 ‘아덴만 참사’에도 그랬으니 개탄할 일이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