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eating a cabinet reflecting today’s Korea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Creating a cabinet reflecting today’s Korea (KOR)

PARK HYUN-YOUNG
The author is the Washington correspondent of the JoongAng Ilbo.

On April 1, 2021, a photo was posted on U.S. President Joe Biden’s official Twitter and Facebook accounts. It contained a short caption; “A Cabinet that looks like America.” Twenty-five people, including the U.S. president, vice president, secretaries and high-level staff members were looking at the camera after the first full cabinet meeting held after the Senate confirmed all appointees nominated by Biden.

Many of the cabinet members are firsts. Secretary of the Treasury Janet Yellen is the first woman to hold the position. Lloyd Austin is the first African American secretary of defense. Secretary of Transportation Pete Buttigieg is the first openly gay cabinet member. Deb Haaland is the first Native American to serve as a Cabinet secretary. Avril Haines is the first woman to be the Director of National Intelligence. The appointment decisions are based on experience and competency — and with freshness and unconventionality.

Compared to Biden’s Cabinet, President-elect Yoon Suk-yeol’s cabinet choices are outdated. It may be unfair to compare Yoon’s choices with the Biden administration, which is considered the most liberal in history. But Yoon’s nominees are mostly men in their 60s, at 63.1 percent from Yeongnam region, 42.1 percent, who graduated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52.6 percent. Among the 18 ministerial candidates and presidential chief of staff, only three are women, and they are serving ministries with relatively minor responsibilities and authorities.

The mainstream of America is also white males. Why did Biden make alternate choices? It was his election campaign to build a Cabinet that looks like America. He believes the cabinet should be a miniature of American society. A cabinet equipped with diversity and inclusiveness can implement policies that reflect the will of the public.

Biden’s administrative goal is to unite the divided America. The Biden administration is composed of 46.2 percent somen and 53.8 percent men, with 50 percent white, 23.1 percent black, 15.4 percent latin and 11.5 percent asian — quite similar to the composition of the American population.

Yoon also speaks of national unity, but his approach is very different. He claims he was only looking at competency without making balanced choices. But in today’s world with a vast talent pool, it is very possible to make balanced appointments from competent people. Just as Biden said, “Building a diverse team will lead to better outcomes and more effective solutions to address the urgent crises facing our nation.” Diverse identity provides different perspectives and insights and offer alternative and inclusive solutions. It can provide better advice to the president.

A cabinet lacking diversity goes against the global trend. It goes against the value of fairness the young generation wants. A cabinet meeting full of men in black suits may soon become the image of Korea. It is not natural to have only people in a certain gender and age group. That’s not what Korean society looks like. I look forward to seeing a Cabinet that really looks like today’s Korea.
 
 
 
대한민국을 닮은 내각
박현영 워싱턴특파원
 
 
지난해 4월 1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공식 트위터와 페이스북에 사진 한장이 올라왔다. 짤막한 캡션이 달렸다. ‘미국을 닮은 내각’. 대통령과 부통령, 장관과 각료급 참모 25명이 카메라를 응시했다. 바이든이 임명한 장관 모두 상원 인준을 통과한 뒤 열린 첫 ‘완전체’ 각료회의를 기념하며 찍은 단체사진이다.  
 
‘최초’ 수식어를 단 장관들이 대거 포진했다. 첫 여성 재무장관 재닛 옐런, 첫 흑인 국방부 장관 로이드 오스틴, 첫 커밍아웃 장관 피트 부티 지지(교통), 첫 아메리카 인디언 장관 데브할랜드(내무), 첫 여성 정보 최고책임자 애브릴 헤인스(국가정보국장)는 역사를 새로 썼다. 경륜과 실력, 파격과 신선함이 섞인 인선이었다.  
 
바이든과 비교하면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내각 인선은 구식이다. 역대 미국 정부 중 가장 진보적인 바이든 정부와 비교하면 조금 억울할 수 있겠다. 하지만 60대(63.1%), 영남(42.1%), 서울대(52.6%) 출신 남성이 주류인 윤 당선인의 선택은 분명 고답적 방식이다. 18개 부처 장관 후보와 대통령 비서실장 총 19명 중 여성은 3명(13.7%)에 그쳤다. 그마저도 책임과 권한이 작은 부처다.  
 
미국도 백인남성이 사회 주류다. 바이든은 왜 다른 선택을 했을까. ‘미국을 닮은 내각’은 선거공약이었다. 내각은 미국사회 축소판이어야 한다는 믿음에서 나왔다. 다양성과 포용성을 갖춘 내각이 민의(民意)를 반영한 정책을 펼 수 있다는 생각이다. 바이든은 반으로 갈라진 미국의 통합을 국정목표로 세웠다. 국민을 닮은 내각은 그 실천 방안이다. 바이든 내각은 여성 46.2%, 남성 53.8%다. 인종별로는 백인 50%, 흑인 23.1%, 라틴계 15.4% 아시아계 11.5%다. (‘인클루시브 아메리카’) 미국 인구 비율과 비슷하다.  
 
윤 당선인도 국민통합을 말한다. 접근은 다르다. 안배하지 않고 실력만 보겠다고 했다. 하지만 인재가 넘치는 지금 시대는 능력 있고 안배도 할 수 있는 인선이 얼마든지 가능하다. 바이든 말처럼 “다양성을 지닌 팀 구축은 더 나은 결과, 나라가 직면한 일대 위기대응에 더 효과적인 해결책으로 이어질 것이다.” 다양한 정체성은 색다른 시각과 통찰력을 제공한다. 대안적·포용적 해결책을 제시한다. 대통령에게 더 나은 조언을 할 수 있다.  
 
다양성이 없는 내각은 세계적 추세에 역행한다. 젊은 세대가 중시하는 공정의 가치와 어긋난다. 검은 정장차림 남성으로 가득한 국무회의 장면이 한국 이미지가 될 판이다. 특정 성별과 연령 일색은 자연스럽지 않다. 한국 사회가 그렇지 않기 때문이다. 한국을 닮은 내각을 보고 싶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