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urrency swap myth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The currency swap myth (KOR)

CHO HYUN-SOOK
The author is the deputy editor of the economic policy news team of the JoongAng Ilbo.

In October 2008, the conflict between the Ministry of Economy and Finance and the Bank of Korea (BOK) reached a climax. It was shortly after the first Korea-U.S. currency swap was celebrated. Complaints first broke out in the central bank after the ministry leaked the signing a day before the official announcement and gave a misleading interview to take all the credit.

The ministry did not stay quiet. It claimed that the BOK had changed its position once the swap was signed even though it was passive in negotiation from the beginning. Criticism on both heads and talks of dismissing the person in charge followed. The conflict was so serious that then-President Lee Myung-bak openly warned that there should be no boundaries between government ministries when it comes to overcoming a crisis, and all should become one.

The impact of the Korea-U.S. currency swap was so great at the time that the two agencies fought over taking the credit. The value of the won — which fell to nearly 1,500 won per dollar in the aftermath of the global financial crisis originating from the U.S. — bounced back by 200 won in just two days. The struggling Kospi also surged. The impact of the deal to exchange both currencies and withdraw $30 billion at any time was powerful. The unfamiliar currency swap became engraved in Koreans’ minds at that time.

Last week, U.S. Secretary of Treasury Janet Yellen visited Korea. Due to the uncertainty in the currency market, there were strong demands to pursue the Korea-U.S. currency swap again. Yellen left Korea without making any direct mentioning of a currency swap, as expected.

Full authority over currency swaps belongs to the Federal Reserve. It is not something the Department of Treasury can decide. That is very different from Korea, where the Ministry of Economy and Finance oversees the foreign exchange system. A ministry official summed up the awkward situation: if Secretary Yellen were to announce a Korea-U.S. currency swap, it would be like Finance Minister Chu Kyung-ho — not the BOK governor — increasing the base rate next month.

It is comical to ask Yellen to sign a currency swap deal when she is not in charge. If the swap deal is signed, it would be good for the market, but it’s not a panacea. In 2008, it had a short-lived effect, but the country could not get out of the financial storm. I hope that inappropriate talks of a currency swap will not be discussed whenever a Korea-U.S. meeting is held.
 
 
 
한·미 통화스와프
조현숙 경제정책팀 차장
 
 
2008년 10월 기획재정부와 한국은행간 갈등이 극에 달했다. 한·미 통화스와프 첫 체결 ‘축포’를 터뜨린 직후 일이다. 불만은 한은서 먼저 터져 나왔다. 공식발표일 하루 전에 기재부가 체결사실을 흘리고 모든 공이 기재부에 있는 양 거짓 회견을 했다는 비판이었다.  
 
기재부도 가만있지 않았다. 협상에 소극적이었던 한은이 막상 체결되고 나니 딴소리를 한다며 반박했다. 양측 수장을 겨냥한 원색적 비판, 책임자 경질론까지 물밑에서 오갔다. 이명박 당시 대통령이 “위기극복엔 부처간 경계가 없다. 모두가 하나가 돼야 한다”며 공개 경고에 나설 정도로 갈등은 심했다.  
 
‘누구 공이냐’를 두고 양대 기관이 낯 뜨거운 다툼을 벌일 만큼 당시 한·미 통화스와프의 화력은 대단했다. 미국발 금융위기로 달러당 1500원 가까이로 추락했던 원화가치가 통화스와프 체결 이틀 만에 200원 넘게 수직상승(환율하락)했다. 바닥을 기었던 코스피도 치솟았다. 필요하면 언제든 300억 달러 규모 달러화를 원화와 맞바꿔 인출할 수 있다는 협약의 효력은 컸다. 이름도 낯선 통화스와프가 한국인 머리에 각인된 건 그때다.  
 
지난주 재닛 옐런 미국 재무부 장관이 한국을 방문했다. 외환시장이 불안한 만큼 한·미 통화스와프를 다시 추진해야 한다는 요구가 거셌다. 물론 옐런 장관은 통화스와프에 대한 직접적 언급을 한마디도 하지 않고 한국을 떠났다. 예견된 일이다.  
 
통화스와프에 대한 전권은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가 쥐고 있다. 재무부가 체결하라, 마라 할 처지가 아니다. 미 재무부격인 기재부가 외환 제도·협력정책도 총괄하는 한국과는 크게 다르다. 기재부 관계자는 난감한 처지를 한 문장으로 축약했다. “옐런 장관이 한·미 통화스와프를 체결하겠다고 발표하는 건 한은총재도 아닌 추경호 부총리(기재부 장관)가 다음 달 기준금리를 올리겠다고 하는 것과 같다.”  
 
권한이 없는 옐런 장관을 붙잡고 통화스와프를 체결해달라는 것 자체가 코미디란 얘기다. 14년 전 선배들이 했던 과잉 홍보의 부작용을 지금 기재부가 톡톡히 누린다. 통화스와프가 체결되면 시장에 좋겠지만 만병통치약은 아니다. 2008년에도 반짝효과만 있었을 뿐 한국은 금융위기 폭풍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한·미회담이 있을 때마다 통화스와프를 두고 변죽만 울리는 일이 더는 없었으면 한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