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nancial convulsions triggered by Legoland (KOR)
Published: 25 Oct. 2022, 10:23
The relief fund will help mobilize the reserves in the bond market stabilization fund and state institutions like the Export-Import Bank of Korea and the Korea Development Bank. The Bank of Korea (BOK) will discuss emergency relief funds for commercial banks at the next monetary board meeting in November. The central bank will accept corporate bonds issued by those banks as collateral for immediate funding to them. The BOK had run the liquidity aid program for a year from March 2020 temporarily at the onset of the Covid-19 outbreak.
Due to a freeze in short- and longer-dated debt, even large companies have had trouble in raising new funds. A large company tried to issue its corporate bonds worth 150 billion won, but it gave up the plan after they were undersubscribed. Another company even had to borrow 500 billion won for three months from one of its sister companies after it could not raise immediate funding from the market.
The default by a public developer behind Legoland Korea for its asset-backed commercial papers (ABCP) worth 205 billion won ($142 million) worsened the debt market, which is already jittery over the unprecedentedly rapid rises in interest rates. A default of debt backed by a local government raised doubts about other Korean debt and project financing programs.
Smaller companies are in graver hardship. They are unable to issue their new corporate bonds even when they are offered at yields higher than 10 percent. On Friday, interest rates of insecure three-year corporate bonds of BBB- jumped to 11.59 percent, the highest since January 2010 in the wake of global financial crisis.
The uninterrupted hikes in base interest rates by U.S. and Korean central banks have already been battering the financing market. The Federal Reserve is expected to deliver another hike by 75 basis points early November. The Bank of Korea would have to match the galloping pace to some extent to prevent foreign capital from fleeing out of the country and help sustain the value of the Korean won.
The government and central bank have been jointly acting to bolster liquidity. But the Legoland-triggered liquidity crunch could be just the beginning. Investors should be liable for their losses.
Authorities must act to their utmost to prevent a financial risk from the liquidity crunch. They must prevent a chain bankruptcy of companies due to short-term liquidity woes.
'돈맥경화' 자금시장, 시급히 안정시켜야
레고랜드발 시장불안…정부·한은, 긴급대응
기업 자금난, 시스템 리스크로 확산 막아야
정부와 한국은행이 자금시장 안정을 위해 긴급대응에 나섰다. 추경호 경제부총리와 이창용 한은 총재, 김주현 금융위원장 등은 어제 비상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었다. 이 자리에선 기업 자금난을 덜기 위해 회사채 시장에 50조원 이상의 유동성을 공급하기로 결정했다. 채권시장안정펀드와 기업은행·산업은행·신용보증기금 등 정책금융기관을 총동원한다.
한은은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은행들의 대출여력을 키워주기 위한 긴급조치를 논의키로 했다. 은행이 한은에서 돈을 빌릴 때 담보로 맡기는 유가증권(대출 적격담보증권)에 은행채 등을 포함하는 방안이다. 코로나19 사태가 발생했던 2020년 3월에도 한은은 1년간 한시적으로 이런 조치를 한 취한 적이 있다.
최근 회사채·기업어음(CP) 시장에선 신용등급이 비교적 양호한 대기업까지 자금조달에 비상이 걸렸다. 한 대기업은 회사채 1500억원어치를 발행하려고 했지만 수요예측에서 대규모 미달이 발생했다. 다른 대기업은 시장에서 자금조달이 여의치 않자 계열사에서 3개월짜리 단기자금 5000억원을 빌렸다.
가뜩이나 불안한 자금시장에 직격탄을 날린 건 강원도의 레고랜드 부도사태다. 강원도가 지급을 보증한 자산유동화 기업어음(ABCP) 2050억원어치는 결국 부도처리됐다. 지방자치단체가 보증한 채권마저 안전하지 않다는 소식에 투자심리가 급격히 얼어붙었다. 특히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부실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진다.
중견·중소기업의 자금사정은 대기업보다 훨씬 심각하다. 연 10% 이상 고금리를 제시해도 투자자를 찾기가 쉽지 않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비우량 회사채(BBB-등급, 3년 만기) 금리는 지난 21일 연 11.59%까지 치솟았다. 글로벌 금융위기의 충격이 가시지 않았던 2010년 1월 이후 12년 9개월 만에 최고치다.
한국과 미국 중앙은행의 금리인상 행진도 기업들의 자금조달 여건을 악화시키는 요인이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는 다음 달 초 회의에서 추가 금리인상을 예고했다. 한은으로선 외국인 자금유출을 제한하고 원화값 하락(환율 상승)을 방어하기 위해 추가 금리인상이 불가피하다.
정부와 한은이 공동으로 시장 달래기에 나섰지만 단숨에 모든 문제가 해결되긴 어렵다. 이번 레고랜드발 자금경색은 위기의 시작일 뿐이고 앞으로 더 어려운 상황이 닥칠 가능성이 있다. 물론 투자의 책임은 일차적으로 투자자 본인이 져야 한다. 저금리 상황에서 위험 요인을 제대로 따지지 않고 고수익만 좇아간 투자자라면 상당한 손실을 감수하는 게 당연하다. 하지만 정부와 한은은 어떠한 경우에도 지금의 자금경색이 금융위기 같은 시스템 리스크로 확대하지 않도록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만에 하나 건실한 기업까지 일시적 유동성 부족으로 '흑자부도'를 내는 일은 결코 있어선 안 된다.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