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per measures to prevent lonely deaths (KOR)
Published: 27 Oct. 2022, 09:13
The author is a political news editor of the JoongAng Ilbo.
The term “lonely death” was coined in Japan in the 1990s during the prolonged recession, or the “lost 20 years.” Among the elderly citizens who suffered from economic hardship and social isolation upon retirement, the number of deaths without anyone knowing increased suddenly. In Japan, about 30,000 people die alone each year. Special cleaning services clean the site of lonely deaths, and insurance companies offer policies for landlords to get compensated for their losses from tenants who died alone. An industrial ecosystem has been created around lonely deaths.
In Korea, there is no clear criteria for statistics on lonely deaths. Generally, deaths of people with no relatives are considered lonely deaths.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number of such deaths increased from 580 in 2010 to 1,676 in 2015 and 2,880 in 2020. Last year, there were 3,488 deaths without relatives. It’s an explosive trend.
Services specializing in cleaning up the sites of lonely deaths are increasing in Korea, too. Some companies make videos of gathering their belongings and cleaning, and post it on YouTube. Videos, with titles like “Found in the Closet of the Tiny Studio,” mostly have more than 100,000 views. Hundreds of comments console the deceased, such as “It is a tough world, you did a good job” or “I am heartbroken.”
On Oct. 19, a North Korean defector in her 40s was found dead in a government housing complex in Yangcheon District, Seoul. The contract renewal deadline was approaching, but she could not be contacted. A Korea Land and Housing Corporation (LH) employee visited the apartment and found the body. She was wearing winter clothes, so the police assume she died last winter. That means no one knew about her death for nearly a year. In 2015, Kim Byung-chan, a gold medalist in weightlifting at the 1990 Beijing Asian Games, was found dead alone. It feels like Korea would soon to be a “country of lonely death.”
In Britain, the Minister of Loneliness was first appointed in 2018.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also enacted the “Lonely Death Prevention Act” in March 2020.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has started the pilot program of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Lonely Death” in nine cities and provinces nationwide, including Seoul and Busan, since August. It is hard to expect a society neglecting even the last moment of life to be sustainable. Proper preventive measures are urgently needed.
고독사
한영익 정치에디터
고독사란 단어는 장기불황을 뜻하는 '잃어버린 20년'을 맞은 1990년대 일본에서 탄생했다. 은퇴 이후 경제적 곤궁과 사회적 고립을 동시에 겪던 당시 고령층에서 아무도 모르게 생을 마감하는 이들이 급증했기 때문이다. 일본서 고독한 죽음을 맞는 이는 매년 3만 명 정도로 추정된다. 고독사 현장을 전문으로 청소하는 특수청소업체는 물론 월세를 받는 집주인들이 고독사로 입는 손실을 보상해주는 고독사 보험까지 생겼다. 고독사를 고리로 하나의 산업 생태계가 만들어졌다.
한국에는 아직 고독사 통계를 내는 명확한 집계 기준이 따로 없다. 보통 무연고 사망자를 고독사로 본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2010년 580명이었던 무연고 사망자는 2015년 1676명, 2020년 2880명까지 늘었다. 지난해에는 3488명이었다. 폭발적 증가세다.
고독사 현장을 정리하는 국내 전문업체 역시 늘어나고 있다. 일부 업체는 유품정리·특수청소 현장 영상을 촬영해 유튜브에 올리기도 한다. '반지하 17년 삶의 마지막' '좁은 고시원 수납장에서 발견된 것은?' 등의 영상은 대부분 조회 수 10만 회를 훌쩍 넘긴다. "고단한 이 세상 고생 많았다" "억장이 무너진다"며 고인을 추모하는 댓글도 수백개씩 달린다.
지난 19일에는 서울 양천구의 한 임대아파트에서 40대 탈북 여성 A씨가 백골상태의 시신으로 발견됐다. 계약 갱신기한이 다가왔지만, 연락이 닿지 않자 한국토지주택공사(LH) 직원이 방문했다가 시신을 마주했다. 겨울옷을 입은 채여서 경찰은 그가 지난겨울 숨진 것으로 추정했다. 그의 죽음을 1년 가까이 아무도 몰랐다는 뜻이다. 2015년에는 1990년 베이징 아시안게임 역도 금메달리스트였던 김병찬 선수가 고독사로 사망한 채 발견돼 충격을 주기도 했다. '고독사 대국'이 머지않은 것처럼 느껴진다.
영국에서는 2018년 외로움 문제를 담당하는 장관이 최초로 임명돼 주목 받았다. 한국 국회도 2020년 3월 제정한 '고독사예방법'을 제정했다. 이에 따라 보건복지부는 8월부터 서울·부산 등 전국 9개 시도에서 '고독사 예방 및 관리' 시범사업을 시작했다. 생의 마지막 순간마저 방치하는 사회가 지속가능할 것이라 기대하기는 어렵다. 제대로 된 예방 대책이 시급하다.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