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Fountain] Controversy over fingerprints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The Fountain] Controversy over fingerprints (KOR)

YOON SUNG-MIN
The author is the political news editor of the JoongAng Ilbo.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advised the government last month to not use remote facial recognition technology until related laws are enacted. The technology is used in the Ministry of Justice’s airport immigration system and the National Police Agency’s three-dimensional face recognition system for criminal suspects.

The Human Rights Commission explained that the advice was based on the “risk of violating confidentiality, the freedom of privacy and the freedom of assembly and association.” In a Financial Times article in 2020, Yuval Harari, author of “Sapiens,” warned that due to the spread of Covid-19, mass surveillance tools may become commonplace even in countries that had rejected surveillance technology. The Human Rights Commission has put the brakes on state surveillance as there are signs of it becoming commonplace.

The commission’s decision poses the question that the massive collection and use of personal biometric data by the state can infringe on basic rights. Authoritarian governments have collected and used personal information as a means to control people. The country where facial recognition technology is most actively used is China.

Korea also has a long history of such infringements. The collection of fingerprints of left and right thumbs when getting a resident registration card was introduced in 1968 during the Park Chung Hee administration. What triggered the measure was the attempted attack on the Blue House by 12 North Korean commandos in January that year. Starting in 1975, all citizens aged 17 or older must provide fingerprints of all 10 fingers to the government. The government forcibly collected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people with the justification that it would help capture North Korean spies.

After constitutional complaints against collecting fingerprints were filed, the Constitutional Court upheld it as constitutional in 2005 and 2015. “The human rights infringement from fingerprinting is not greater than the public interest from criminal investigation,” said the court. In both cases, the decision was made 6-3.

The judges who gave minority opinions argued that it was unconstitutional as it put “the convenience of administration before the basic rights of the people” (2005) and “violates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2015). Eight years have passed since. The minority opinions valuing human rights over public interest are more noteworthy.

Human rights sensitivity has become more acute. On the fingerprint recognition entry syste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commission recommended that a plan be devised to minimize restriction of the basic rights of children. That is the spirit of the time.

Should all citizens still provide fingerprint information to catch criminals? I wonder what decision will be made if the Constitutional Court deliberates the fingerprinting of all 10 fingers again.
 
 
 
열 손가락 지문
윤성민 정치에디터
 
국가인권위원회는 원격 얼굴인식 기술을 관련법률이 마련되기 전까지 사용하지 말라고 지난달 정부에 권고했다. 법무부의 공항 출입국관리시스템이나 경찰청의 범죄피의자 3차원 얼굴 인식시스템 등에서 이 기술이 사용된다. 인권위는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 집회·결사의 자유 등을 침해할 위험성이 있다”고 권고이유를 설명했다. 『사피엔스』의 저자 유발 하라리는 2020년 파이낸셜타임스 기고문에서 코로나19 확산으로 감시기술을 거부한 나라에서도 대량감시 도구가 일상화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한국서도 일상화될 조짐을 보이는 국가감시에 인권위가 제동을 걸었다.  
 
인권위의 결정은 국가의 개인 생체정보 대량 수집·활용이 기본권을 침해할 수 있다는 문제의식을 던진다. 권위주의 정부는 국민통제 수단으로 개인정보를 수집·활용해왔다. 얼굴인식기술이 가장 활발히 활용되는 나라는 중국이다.  
 
한국도 오랜 역사가 있다. 박정희 정부 때인 1968년 주민등록증을 발급받을 때 좌우 엄지손가락 지문을 날인하는 제도가 도입됐다. 그해 1월 북한 특수부대원 12명이 청와대를 습격하려는 사건이 계기가 됐다. 1975년부터는 17세 이상 국민이라면 열 개 모든 손가락 지문정보를 국가에 제공해야 한다. 간첩을 잡는다는 이유로 국가가 국민이 생체정보를 강제적으로 가져간 것이다.  
 
열 손가락 지문 날인이 헌법상 자기정보 통제권 등을 침해한다는 헌법소원이 제기됐었다. 헌법재판소는 2005년과 2015년 두차례 판단을 내렸다. 모두 합헌이었다. “지문수집으로 인한 인권침해가 범죄수사 등 공익목적에 비해 크지 않다”는 이유에서였다. 둘 다 헌법재판관 6대 3의 결론이었다. 소수의견을 낸 재판관들은 “행정의 편의성을 국민의 기본권보다 앞세운 발상”(2005년), “개인정보 자기결정권을 침해한다”(2015년)며 위헌 의견을 냈다. 8년이 지난 지금은 다수의 공익보다 소수의 인권에 마음을 썼던 재판관들의 의견에 더 눈길이 간다.  
 
인권 감수성이 예민해졌다. 인권위는 2019년 초등학생 지문인식 출입시스템에 대해서도 “아동의 기본권을 최소한으로 제한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라”고 권고했다. 이런 시대다. 범죄자를 잡기 위해 모든 국민이 여전히 지문 정보를 제공해야 할까. 헌재가 십지(十指) 날인을 다시 판단한다면 어떤 결과가 나올지 궁금하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