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 slip can be tolerated in mid-air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No slip can be tolerated in mid-air (KOR)

An airplane with 200 passengers and crew onboard went into panic from a sudden opening of the emergency door in mid-air. The bizarre and terrifying incident that could have been a fatal accident occurred on an Asiana Airlines flight before landing at Daegu International Airport after leaving Jeju on May 26.

The plane was readying to land 213 meters (700 feet) above the ground. The passenger seated next to the emergency exit suddenly pulled the lever, bringing in a gush of noise and wind into the cabin and sending passengers into panic.

The plane fortunately landed safely, however with the door wide-open. Twelve passengers with breathing difficulty were taken to the hospital. Onboard was 60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athletes and their trainers from Jeju headed for the National Junior Sports Festival held in Ulsan. It is thankful that no casualties occurred from the incident.

The accident raises awareness on the loopholes related to flight emergency exit management. Exit opening by a passenger in the row either by accident or on purpose cannot be stopped. Airliners have strict requirements in allowing passengers to sit in the exit row. Only those meeting physical and language fluency requirements who agree to cooperate with the crew in an emergency situation can be seated in the row.

But airliners cannot fully check up on the mental state of the passengers beforehand or the sincerity behind their consent. The 30-something passenger arrested for his dangerous behavior said he opened the exit because he felt suffocated and wanted to get out fast. The court granted an arrest warrant for the man. Under the aviation security act, a person who mishandles entry and exit doors and other equipment on the plane can face up to 10 years in prison.

Preventative actions are more important than punishment. Airliners that were forced to be grounded during the pandemic must thoroughly inspect their readiness against any type of contingency.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re than 55 million passengers used international and domestic flights last year. Outbound passenger numbers will surge this year amid the normalization of international routes. Asiana Airlines decided not to sell the seats in the exit row, but that does not fundamentally solve the problem. Airliners with the same plane type must be ready against such a danger.

The land and transport ministry held a security meeting with airliners and airport authorities after the accident to order stricter exit door management. But that alone cannot relieve the anxieties of passengers. The government and flight experts must put their heads together to come up with effective preventive measures. No slip can be tolerated in mid-air.
 
 
 
'위험천만' 항공기 비상구 사고, 재발 방지책 급하다
 
승객 돌발 행동에 213m 상공서 아찔한 상황
비상구 관리 취약, 실효성 있는 대책 나와야
 
 
승객과 승무원 200명이 탑승한 항공기에서 한 승객의 돌발행동으로 비상구가 열리는 아찔한 사고가 벌어졌다. 지난 26일 제주공항을 출발, 대구공항으로 향하던 아시아나항공 여객기에서다. 당시 항공기는 대구공항 700피트(약 213m) 상공에서 활주로 쪽으로 착륙을 준비하던 상황이었다. 이때 비상구 바로 옆좌석에 앉아 있던 한 승객이 갑자기 비상구 개폐 손잡이를 잡아당겼다. 비상구가 열리자 기내에는 소음과 바람이 쏟아져 들어왔고, 깜짝 놀라 비명을 지르는 승객도 있었다.  
 
결국 항공기는 비상구가 열린 상태로 대구공항 활주로에 내렸다. 착륙 직후 호흡곤란을 호소하는 승객 12명은 병원으로 옮겨졌다. 기내에는 울산에서 열리는 전국소년체전에 참가하는 제주지역 초·중학생 선수와 지도자 60여 명도 타고 있었다. 위험천만한 상황이었지만 더 심각한 인명피해가 없었던 게 천만다행이다.  
 
이번 사고는 항공기 비상구 관리의 취약점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비상구 좌석에 앉은 승객이 고의든, 실수든 비상구 개방을 시도하는 걸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항공사는 아무 승객이나 비상구 좌석에 배정하지 않는다. 체격조건이나 언어능력이 충분하면서 비상상황에서 승무원에게 협조키로 동의한 사람만 비상구 좌석에 앉을 수 있다. 그런데 항공사가 사전에 승객의 정신상태나 동의의 진실성 등을 파악하는 건 사실상 불가능하다. 비상구 무단개방으로 현장에서 체포된 30대승객은 경찰조사에서 “답답해서 빨리 내리고 싶었다”고 진술했다. 법원은 어제 이 승객에 대한 구속영장을 발부했다. 항공보안법에 따라 항공기 출입문이나 기기 조작을 시도한 승객은 10년 이하의 징역형을 받을 수 있다.  
 
일이 벌어진 뒤 처벌보다 더 중요한 건 사전예방이다. 특히 코로나19로 경영난을 겪은 항공사들이 만일의 사고에 대처할 준비가 돼있는지 철저하게 모든 안전을 점검할 필요가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국제선과 국내선을 이용한 여객수는 5500만 명을 웃돌았다. 올해는 코로나19로 막혔던 해외여행 재개로 국제선 여객수가 큰폭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아시아나항공은 해당기종에서 비상구 좌석의 판매를 중단키로 했지만 이걸로 문제 소지를 해소했다고 하긴 어렵다. 같은 기종을 운영하는 다른 항공사도 비슷한 사고의 위험성을 배제할 수 없다.  
 
국토부는 이번 사고 직후 항공사와 지방항공청·한국공항공사 등이 참여하는 안전회의를 열고 비상구 관리 강화 등을 지시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불안해하는 항공기승객들을 안심시키기에는 충분치 않아 보인다. 정부와 전문가들이 머리를 맞대고 실효성 있는 재발방지책을 제시하는 게 시급하다. 조금의 실패나 실수가 대형 참사로 이어지는 게 항공 안전인 때문이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