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udence needed to revive conscripted police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Prudence needed to revive conscripted police (KOR)

The Yoon Suk Yeol administration is considering reviving conscripted police to help strengthen the police’s ability to deal with increasing crimes. Announcing the government’s countermeasures against random attacks on Wednesday, Prime Minister Han Duck-soo stressed the need to reintroduce the conscript police. After concerns arose about a further lack of human resources for the mandatory military service, the prime minister said the government is just trying to find a more efficient way to distribute manpower. National Police Agency Commissioner General Yoon Hee-keun suggested the size of police conscripts to be between 7,500 and 8,000 each year.

We can understand the urgent need for the police to augment their capabilities to prevent the growing number of random attacks these days. But the government needs to take a prudent approach in the reintroduction of the scrapped police conscript system, given the declining human resources from the ultralow birthrate. The conscripted police system was completely abolished in April, 41 years after it was adopted by the Chun Doo Hwan administration in 1982 to effectively control violent protests against the military regime.

It was in 2007 that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 announced a plan to abolish the conscripted police — consisting of the riot police and the public safety police — as part of its national defense reform. The liberal government planned to gradually downsize the two conscripted police groups from 2008 and end the system by 2012. The government found fault in using human resources for the military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public safety. The International Labor Organization (ILO) at the time pointed out that the arbitrary conversion constitutes an act of “forced labor,” strictly banned by the ILO.

In 2011,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also recommended the government repeal the conscripted police system, citing poor working conditions and human rights violations. Riot police disappeared in 2013, but the other group for public safety stayed. In 2016,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 announced a plan to phase out the remaining group by 2023.

If the Yoon administration really wants to reintroduce the scrapped system, it must give convincing reasons. It also needs a process of canvassing public opinion. If the police wants to recruit personnel easily, that’s a serious mistake. The police must first address the structural imbalance of too many senior officers and too few junior ones that handle public security on the field. The people are entitled to receive quality security service from the police. The police must first ease citizens’ anxiety and the distrust in them instead of trying to find a quick fix.
 
 
 
치안 위해 의무경찰 재도입, 신중하게 접근해야
 
정부, 범죄예방 강화 내세워 의경 부활 검토
병역 자원 부족 우려…사회적 공론화 거쳐야
 
 
정부가 의무경찰(의경)의 부활을 검토하기로 했다. 한덕수 총리는 어제 이상동기 범죄(묻지마 범죄) 대책을 발표하며 "범죄 예방 역량을 대폭 강화하기 위해 의무경찰제 재도입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의경 부활로 군 복무 자원이 더욱 부족해질 것이란 우려에 대해 한 총리는 “의무경찰은 기존 병력 자원의 범위 내에서 인력 배분을 효율화하는 방안을 검토하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윤희근 경찰청장은 의경 인력 규모로 7500~8000명을 제시했다.
 
최근 ‘묻지마 범죄’가 잇따르며 총체적 치안 위기에 빠진 상황에서 경찰의 범죄 예방 역량을 강화하는 건 시급한 과제다. 하지만 이미 폐지한 제도인 의무경찰을 재도입하는 건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가뜩이나 청년 인구 감소로 병역 자원이 부족한 상황에서 청년 세대가 민감하게 보는 병역 문제를 건드리는 것이기 때문이다. 1982년 전두환 정부에서 창설한 의경은 41년 만인 올해 4월 마지막 기수가 전역하면서 공식적으로 폐지됐다. 군 복무를 대신해 경찰 업무를 보조하는 의경을 없애면서 그 자리를 직업 경찰로 대체하자는 취지였다.
 
정부가 처음으로 의경 폐지를 결정한 건 2007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노무현 정부는 ‘국방개혁 2020’의 일환으로 전투·의무경찰의 폐지 방침을 발표했다. 2008년부터 단계적으로 인원을 감축해 2012년에는 완전히 없앤다는 구상을 담았다. 인건비가 싸다는 이유로 군 복무 대상자를 의경으로 모집해 치안에 활용하는 건 문제라는 인식이 깔렸었다. 국방의 의무로 소집한 청년에게 군 복무 외에 다른 일을 시키는 건 국제노동기구(ILO)가 금지한 강제노동에 해당한다는 논란도 있었다.
 
이명박 정부 시절인 2011년에는 국가인권위원회가 열악한 근무환경과 인권 침해를 이유로 전·의경 폐지를 권고하기도 했다. 전경은 2013년 폐지됐지만 의경은 그대로 남았다. 박근혜 정부 시절인 2016년에는 국방부가 2023년까지 단계적으로 의경을 폐지하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후 문재인 정부에서 의경 폐지를 실천에 옮기면서 의경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인제 와서 정부가 의경을 다시 도입한다면 국민이 납득할 만한 이유가 있어야 한다. 사회적 공론화 과정이 필요하다. 행여라도 의경 부활이 저렴한 인력을 손쉽게 모집해 운영하려는 경찰 조직의 편의주의로 흘러서는 안 된다. 무엇보다 간부는 넘치는데 현장 치안 인력은 부족한 경찰 조직의 구조적 문제를 풀어가는 노력이 우선해야 한다. 경찰 인력을 현장 치안 중심으로 다시 배치하고, 간부들도 현장 대응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변화가 시급하다. 모든 국민은 범죄의 불안에 떨지 않고 질 좋은 치안 서비스를 누릴 권리가 있다. 경찰은 이런 국민의 불신과 불안을 해소하는 데 전력을 기울여야 한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