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uling on leaflets to North Korea welcomed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Ruling on leaflets to North Korea welcomed (KOR)

The Constitutional Court this week struck down the provision in the amended law in the Development of Inter-Korean Relations Act banning the dispatch of propaganda leaflets to North Korea on grounds that it excessively limits the South Korean constitutional right to “freedom of expression.” The ruling immediately invalidates the provision under the bill railroaded by the then-ruling Democratic Party (DP) during the previous Moon Jae-in government 33 months ago. Under the amended law, anyone who violates the provision can face a prison term of up to 3 years or a fine of 30 million won ($22,172). The law was struck down in a 7-2 vote from the top court bench.

The law banning the dispatch of anti-North Korea leaflets across the border drew criticism not just from home but also from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Nations. The former government led by President Moon Jae-in pushed for the bill, citing concerns for the safety of residents near the border. The move came after Kim Yo-jong, the powerful sister of North Korean leader Kim Jong-un, threatened to trash the military agreement reached through a summit in 2018 for Seoul’s condoning the launches of anti-Pyongyang flyers. The Moon administration had not protested the saber-rattling that restricts the rights of South Koreans and threatens the lives of residents near the border. Keeping inter-Korean relations peaceful is one thing, but surrendering to North Korea’s threat is another.

The top court also found Constitutional incongruity in the action. Four justices said the provision prohibiting the dispatch of anti-North leaflets “translated the responsibility of the North Korean provocation onto those who send flyers, which constitutes the imposition of penalty on those who do not deserve criticism.” In other words, the government must not find fault with those who send leaflets when it is Pyongyang that poses a danger to the lives of South Koreans.

But the Constitutional court has not condoned the reckless spread of anti-Pyongyang leaflets. The act can be contained through police restriction or prior notice of the act of sending leaflets, the court said. Flyer sending had also posed a headache for conservative governments. Under President Park Geun-hye in 2014, North Korea shot down balloons carrying anti-Pyongyang flyers. The conservative government ordered the police to contain the dispatch and pleaded with bodies of defectors to restrain the action.

Legislation that can excessively restrict South Korean rights must not be repeated. The former government and the DP figures who pressed the bill must apologize to the people. The legislature must come up with more effective measures to ensure the safety of the residents living near the border than the ban. The government and politicians have the duty to explore the best possible way to guard public lives without infringing on the values of democracy and civilian rights.
 
 
 
대북전단 금지법 위헌 결정, 사필귀정이다
 
헌재 다수 의견으로 '표현의 자유' 침해 결정
김여정 위협에 무리한 입법 문 정부 반성해야
 
 
헌법재판소가 어제 대북전단 살포를 금지한 남북관계발전법 일부 조항에 대해 위헌결정을 내렸다. 우리 헌법이 보장한 ‘표현의 자유’를 과도하게 침해했다는 이유에서다. 전임 문재인정부와 당시 여당이던 더불어민주당이 국회에서 야당의 반대를 뚫고 법안을 강행 처리한지 2년9개월 만이다. 이 법은 대북전단 살포를 금지하면서 이를 위반할 경우 3년 이하의 징역이나 3000만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하도록 규정했다. 하지만 헌재가 7대2의 다수 의견으로 헌법위반이라고 판단하면서 해당조항은 즉시 효력을 잃게 됐다.  
 
대북전단 금지법은 애초부터 무리한 입법이었다. 미국과 유엔을 비롯한 국제사회도 비판의 목소리를 냈을 정도였다. 전임 문재인 정부는 접경지역 주민의 안전보장을 입법의 이유로 내세웠지만 앞뒤가 맞지 않는다는 지적을 받았다.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이 탈북자 단체의 대북전단 살포에 강한 불쾌감을 표시하며 남북 군사합의 파기 가능성을 내비친 게 그 배경이었다. 당시 정부는 우리 국민의 헌법상 권리를 제한하면서도 접경지역의 안전을 위협하는 북한에 제대로 항의하지 못했다. 남북관계를 평화적으로 이끌어 가기 위한 노력은 중요하지만 북한의 위협에 굴복하는 건 전혀 다른 차원의 문제다.
 
이번 헌재결정에서도 이런 모순점을 분명히 지적했다. 헌재 재판관 중 네 명은 “심판 대상 조항(대북 전단 금지법)은 북한의 도발로 인한 책임을 전단 등 살포 행위자에게 전가하는 것”이라며 “비난 가능성이 없는 자에게 형벌을 가하는 것과 다를 바 없다”고 판단했다. 우리 국민의 생명과 신체에 위해를 끼치는 건 북한인데 전단 살포자에게 그 책임을 물을 순 없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헌재의 결정이 무분별한 대북전단 살포를 허용해야 한다는 취지는 아니다. 헌재는 대북전단을 일률적으로 금지하지 않더라도 경찰이 경우에 따라 대북전단 살포를 제지하거나 사전 신고제도 등을 통해 보완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 실제로 대북전단은 보수정부에서도 상당한 고민거리였다. 박근혜 정부 시절인 2014년에는 북한이 대북전단을 실은 풍선을 향해 실탄을 발사하는 일도 있었다. 당시 정부는 경찰력을 동원해 전단살포를 제지하고 탈북자단체를 만나 자제를 요청하는 방식으로 대응했다.  
 
앞으로 대북전단 금지법처럼 헌법상 표현의 자유를 지나치게 제한하는 과잉 입법을 되풀이해선 안된다. 당시 입법을 추진한 문재인정부 인사들과 민주당은 이제라도 국민에게 진심으로 사과해야 한다. 동시에 여야 정치권이 머리를 맞대고 접경지역 주민의 안전을 효율적으로 지킬 방안을 강구하길 바란다. 민주주의와 인권의 가치를 확고하게 지키면서 국민안전을 위한 최선의 방안을 찾는 게 정부와 정치권의 의무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