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sic science matters for the Nobel Prize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Basic science matters for the Nobel Prize (KOR)

The Nobel Prize season is back. The Nobel Foundation based in Sweden annually celebrates scientists, writers, economists and human rights advocates who have contributed to advancing the value of humanity, upholding the wishes of Swedish chemist, engineer and industrialist Alfred Nobel, who invented dynamite.

First up on Oct. 2, the Nobel Prize in Physiology or Medicine went to Katalin Karikó and Dr. Drew Weissman, both professors at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for their contribution “to the unprecedented rate of vaccine development during one of the greatest threats to human health in modern times,” the panel that awarded the prize in Stockholm said. They developed mRNA vaccines to protect against severe Covid-19.

Nobel laureates in physics, chemistry, literature, peace and economics will follow through Oct. 9. The Nobel Prize remains the most valuable recognition, as other prestigious awards use such expressions as “a Noble Prize-like honor” in their respective fields. The list of the laureates stands as a celebration of humanity’s science and technology advances.

Korean society also joins the Nobel flurry every autumn. Many organizations hold related symposiums and events, and media platforms cover the awardees. They always highlight possible Nobel Prize candidates from Korea, but the country always comes up empty. Unlike Japan, Korea has never received a Nobel Prize in the sciences.

Korea is among the world’s top spenders in research and development against its gross domestic product, but it has never produced a Nobel laureate scientist. This year will likely end in empty-handed, too. There are no Korean scientists among the candidates Clarivate predicted ahead of the Nobel Prize ceremonies. Japan, meanwhile, has produced 25 winners and has a name every year on the candidate list.

The Noble Prize in the science field goes to basic science fields. The accreditation goes to someone who had taken up pioneering research that adds great value to humanity. Sudden discoveries do not win the award. According to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scientists winning the Nobel Prize on average earned a postgraduate doctorate before the age of 30 and started independent research in their 40s to gain attention for their work in their mid-50s and acceptance by the mainstream at their late 50s.

Korea’s history in basic science is relatively short. It established the Institute of Basic Science only in 2011. To become a first mover in science research, investment in basic science must continue. The government cut 16.6 percent in next year’s budget for R&D, citing a fiscal deficit. But the budget for next year increased 2.8 percent from this year. Without quality research, we can never become a first-mover or dream of winning a Nobel Prize in the future.
 
 
 
돌아온 노벨상 시즌, 부러워만 하는 한국
 
수상자 발표 시작됐지만 유력 한국 후보 없어
기초연구 지속 투자와 연구 풍토 개선이 우선
 
 
노벨상 시즌이 시작됐다. 스웨덴 노벨위원회에 따르면 2일 생리의학상을 시작으로 3일 물리학상, 4일 화학상 등 과학부문 수상자 발표가 이어진다. 5일에는 문학상, 6일엔 평화상, 9일엔 경제학상 수상자가 공개된다. 노벨상은 다이너마이트를 발명한 알프레드 노벨의 모국인 스웨덴뿐 아니라 전 세계가 인정하는 세계 최고의 상이다. 특히 과학기술 세계에선 다른 이름 높은 상들조차 ‘○○분야의 노벨상’이라는 별칭이 붙을 정도로 노벨상의 권위는 특별하다. 노벨 과학상 수상자들의 명단을 시대별로 세워보면 그 자체가 인류의 과학 발전 역사라는 사실이 노벨상의 위치를 새삼 확인해준다.  
 
한국사회는 매년 9~10월이면 ‘노벨상 앓이’를 한다. 학계와 관련 단체 곳곳에서 노벨상 관련행사를 하는가 하면, 신문과 방송서도 관련기사가 이어진다. 매년 수상자 발표시즌이 되면 국내 누군가가 유력한 후보라는 이야기가 돌다가 결국 빈손에 그친다. 이웃나라 일본과 비교하며 ‘우리는 뭘 하고 있나’라는 탄식도 이어진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연구·개발(R&D) 투자 세계 1, 2위를 자랑하는데, 노벨상은 왜 못 받는가’는 비판도 나오곤 한다. 발표가 남았으니 지켜볼 일이지만, 올해도 한국의 노벨과학상 수상자 배출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노벨상 예측으로 유명한 학술분석기관 클래리베이트가 꼽은 후보 중 한국인 과학자는 단 한명도 없다. 이미 25명의 노벨 과학상 수상자를 배출했고 매년 유력 후보가 거론되는 일본과 비교되지 않을 수 없다.  
 
노벨 과학상은 기초과학 영역에 주는 상이다. 새로운 분야에서 선구적 연구를 수행하고, 그 연구가 인류에 지대한 공헌을 할 때 받을 수 있다. 이 때문에 당장 오늘 위대한 과학적 발견을 했다고 상받는 경우는 드물다. 한국연구재단에 따르면 노벨 과학상 수상자는 ‘30세 이전에 박사학위를 마치고 독자적 연구를 시작해 40대에 노벨상을 받을 만한 연구를 완성한 사람’이 주류를 이룬다. 50대 중반에 연구 결과가 학계의 주목을 받고, 50대 후반에 이르러 해당 분야의 최고 권위자가 돼서야 노벨상을 받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선진국 추격에 바빴던 한국사회가 기초과학에 본격적으로 투자한지는 얼마 되지 않는다. 2011년에서야 세계적 수준의 기초과학 연구를 위해 ’기초과학연구원‘(IBS)을 만들었다. 한국이 과학연구의 '퍼스트 무버'(선도 국가)로 도약하려면 기초과학에 대한 지속적 투자가 필요하다. 하지만 정부가 발표한 내년 예산안에서 R&D 부문은 올해 대비 16.6%나 삭감됐다. 심각한 재정적자 때문이라고는 하지만 총 예산안은 2.8% 늘었다. 수준높은 연구가 지속해서 이어지고, 국가의 체질이 '퍼스트 무버' 형으로 바뀌어야 노벨상도 찾아올 수 있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