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ture vision is key to the new party’s success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Future vision is key to the new party’s success (KOR)

The four minor political parties on Friday declared they would merge to form a united front against the governing People Power Party (PPP) and the majority Democratic Party (DP). The name of the new party under the joint leadership of former DP leader Lee Nak-yon and former PPP leader Lee Jun-seok is the New Reform Party. The post of its general campaign manager for the April 10 parliamentary elections will be taken by Lee Nak-yon, who served as prime minister during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In the first meeting on Saturday after the declaration of the merger, leaders of the new party vowed to not create satellite parties simply to get more seats designated for 47 proportional representatives, as opposed to the PPP and the DP. If the new party is launched, the upcoming election will be a three-way contest for the first time in eight years.

The two mainstream parties are keenly alerted by the scheduled merger of the four minor parties just two months before the election. As if to show their uneasiness about the creation of the new party, the PPP ridiculed it for turning into “a bowl of bibimbap mixed with incompatible ingredients” and “a feminist pro-Moon leftist party,” while the DP criticized it for “integrating for the worse.”

The emergence of a third party reflects voters’ strong antipathy toward the negative effects of the dominant two parties in Korean politics. The voters are prepared to punish both the inability and obstinacy of the PPP and the ideology-driven tyranny of the DP in legislation. The solid existence of the 20 to 30 percent of voters who support neither party proves their disappointment about the two major parties. Announcing the merger, the new party underscored “there is no future for the country if the two parties’ dominance continues.” The new party can critically affect some tight races in Seoul and Gyeonggi, in particular.

And yet, the future of the new party is not so bright due to their rush to unite regardless of their intrinsic differences in ideology and identity. Skepticism has erupted over the possibility of their chemical integration, due to the gap in their stances on diplomacy, security, economy, labor and gender. The party’s opaque leadership and regional base also can spike serious discords in the process of nominating candidates in the election.

If the new party wants to win over the moderates, it must give up its naïve hope of getting benefits from its frame of demonizing President Yoon Suk Yeol and DP leader Lee Jae-myung. Instead, the party must present convincing visions for new politics by ending the old system based on extreme confrontation between the two mega parties. If the new party can bring in genuinely reform-minded talent from outside, it can help the party overcome the limits. If the new party only seeks to make itself bigger, it will surely follow in the footsteps of the hastily-merged non-mainstream parties as in the past.
 
 
 
'빅텐트’ 합의 제3지대, 새정치의 가능성 제시가 관건
 
제3지대 합당 선언…"기득권 양당 체제로는 미래 없어"
'반윤-반이' 반사이익 넘어선 비전·역량부터 제시해야
 
 
개혁신당과 새로운미래, 새로운선택, 원칙과상식 등 제3지대 4개 정치세력이 설 연휴 첫날인 지난 9일 합당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이름은 ‘개혁신당’, 당 대표는 이낙연·이준석 공동 체제다. 4·10 총선을 지휘할 총괄선거대책위원장은 이낙연 공동대표가 맡기로 했다. 이튿날 첫 회의에선 비례대표용 위성정당을 만들지 않겠다고 했고, 정책위의장·사무총장 등 주요 당직 인선도 차례로 발표했다. 개혁신당이 닻을 올리게 되면 22대 총선은 2016년 20대 총선 이후 8년 만에 3자 구도로 치러지게 된다.
 
당명 등을 놓고 진통을 거듭하던 제3지대가 총선 두 달을 앞둔 설 연휴에 통합 신호탄을 쏘아올리자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 등 양당은 파장을 주시하는 기류가 역력했다. “온갖 세력이 잡탕밥을 만든 개혁신당은 ‘페미 친문 좌파 정당’이 됐다”(장예찬 전 국민의힘 청년최고위원)라거나 “이낙연+이준석은 마이너스 통합”(정청래 민주당 최고위원)이라고 비꼬는 식의 견제성 발언도 잇따랐다.  
 
제3지대가 총선의 관심사로 떠오른 배경엔 수십 년 지속된 양당 독과점 체제의 폐해에 대한 유권자의 강한 반감이 자리 잡고 있다. 민심은 집권 여당의 무능·독선과 다수 야당의 횡포·폭주 모두를 심판하겠다고 벼르고 있다. 여론조사마다 굳건한 20∼30%의 무당층은 그 같은 성난 민심의 방증이다. 개혁신당은 합당 선언 발표 때 “기득권 양당 체제를 그대로 방치해선 대한민국의 미래가 없다”며 거대 양당 체제 탈피에 거듭 방점을 찍었다. 향후 제3지대의 행보에 따라 수도권 등 박빙 지역에선 판세가 요동칠 수도 있다.
 
그러나 제3지대의 앞날은 그리 녹록지 않다. 총선 시간표에 쫓겨 '뭉치고 보자' 식으로 급조한 인상이 없지 않다. 세력 간 이념·정체성 차이가 분명해 화학적 결합을 이뤄낼 수 있겠느냐는 회의론도 만만치 않다. 당장 외교안보·경제·노동·젠더 정책 어느 것 하나 융합해낼 교집합이 잘 보이지 않는다. 리더십이나 지역적 기반도 확실치 않아 공천 과정에서 지분 다툼 같은 불협화음이 노출될 가능성도 없지 않다.
 
제3지대가 '캐스팅보트'를 쥔 중도층 표심을 얻으려면 무엇보다 ‘반윤석열-반이재명’ 프레임에 기대 반사이익을 도모하려는 생각부터 버려야 한다. 극단적 대결 정치를 양산한 낡은 체제를 혁파하고 새 정치를 펼칠 수 있다는 가능성과 비전, 역량부터 먼저 보여줘야 한다. 현실적 계산이 깔렸겠지만, "위성정당 안 만든다"는 방침은 여야의 꼼수 정치와 대비되는 대목이다. 이준석 대표는 신당 의석수가 이번 주 6∼7석까지 늘어날 것이라고 예고했지만, 개혁적 인물 영입으로 확장성을 높이는 것도 과제다. 정치공학적 몸집 불리기만으론 과거 떴다방식 정당의 한계를 넘어설 수 없다는 점을 유념하기 바란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