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ifting gears for new growth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Shifting gears for new growth (KOR)

HAN WOO-DUK
The author is a senior reporter of the China Lab.

Last year, China suffered the “Peak China” offensive by the West. A real estate recession, youth unemployment and population decline helped fuel the China crisis theory. Economic experts forecast that the country would not be able to avoid the middle-income trap or it will follow the “lost 30 years” of Japan.

Beijing has come up with an answer called “new quality productive forces” by Chinese media. The new phrase, referring to a methodical campaign to improve China’s manufacturing qualities, has been appearing every day in the state media since it was first revealed in the government work report for the Two Sessions on March 5. It was the major topic of the Boao Forum for Asia last week. China described Xiaomi’s announcement of a new electric car last month as “a victory of new quality productive forces.”

What is China trying to do anyway?

It can be summed up as a “growth engine replacement.” China plans to achieve economic growth through high-value, high-tech industries, not in toll processing plants. The list of “new quality productive forces” appearing in the report includes new energy vehicles, hydrogen, new materials, commercial aerospace, quantum technology, life science, artificial intelligence and others. China wants to create new growth engines through national policy instead of the market.

The goal is to get out of the middle-income trap. China’s per capita GDP of about $12,000 borders the trap.

Chinese government-backed scholars are confident of success. They point out that the country is moving beyond the “fast follower” stage to become a “first mover” in the fields of new technologies like AI and quantum science. They claim that China produces the world’s best AI papers, surpassing the United States in both quality and quantity.

As these fields are mostly in the early growth stage, government support is important. The scholars contend that Beijing’s new and ambitious governance system will be more powerful, as the government, businesses and academia will work together tightly.

Western academia points to more fundamental limitations to the government-led growth drive. Many studies empirically show that it is difficult to jump to the ranks of advanced countries without political democratization and economic liberalization. Japan, Korea, Singapore, and Taiwan prove this. China is also taking a different escape route than those countries, because it must achieve the leap amid a sharp confrontation with the United States, a technological powerhouse and the largest market.

It is too early to say whether China will be able to break through the middle-income trap by switching its growth engine. But it seems clear that China’s industrial “quality” is becoming more advanced. The closer it inches to success, the more likely it will end up as an “advanced yet unique economic system” quite different from the existing developed world. As the past 45 years showed, China’s experiment has just begun.
 
 
 
성장 엔진 갈아 끼우기
한우덕 차이나랩 수석 기자
 
작년 한 해 중국은 서방의 '피크 차이나(Peak China)' 공세에 시달려야 했다. 부동산 경기침체, 청년실업, 인구감소 등이 겹치면서 중국 위기론이 퍼졌다. '중진국 함정', '일본의 잃어버린 30년'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는 말이 나돌았다.
 
중국이 답을 내놨다. '신질생산력(新質生産力)'이 그것. '새로운 품질의 생산력'으로 번역된다.  
 
단어 '신질생산력'은 지난 3월 5일 양회의 '정부 업무보고'에 등장한 이후 하루도 빠지지 않고 관영매체에 등장한다. 지난주 보아오(博鰲)포럼의 핵심주제이기도 했다. 샤오미(小米)의 전기차 발표를 두고 '신질생산력의 승리'라는 말도 나온다.  
 
뭘 어쩌자는 걸까.  
 
'성장엔진 교체'로 요약된다. 임가공 공장이 아닌 고부가 하이테크 산업에서 경제 성장의 추동력을 끌어내겠다는 뜻이다. 신에너지 자동차, 수소에너지, 신재료, 상업 항공우주, 양자기술, 생명과학, AI... 정부 업무보고에서 제시된 '새로운 품질의 생산력' 항목이다. 그들은 시장의 힘이 아닌 국가정책으로 성장동력을 만들겠다고 나선다.
 
목표는 '중진국 함정' 탈출이다. 중국의 1인당 GDP(국내총생산)는 약 1만2000달러. 함정의 경계선이다.  
 
중국 관변학자들은 성공을 자신한다. AI∙양자기술 등 '신질생산력' 분야에서 중국은 추격자(Fast Follower) 단계를 벗어나 기술선도자(First Mover)로 도약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그들은 "질적으로나, 양적으로나 미국을 추월한 세계 최고수준의 AI 논문이 이를 증명한다"고 말한다. 이들 분야는 대부분 초기 성장단계이기에 정부지원이 중요하다. 정부∙기업∙학계가 똘똘 뭉쳐 움직이는 중국의 신형거국체제가 더 위력적일 것이라는 게 그들의 주장이다.  
 
서방학계는 보다 근본적 한계를 지적한다. 많은 연구는 정치민주화, 경제자유화 없이는 선진국 점프가 어렵다는 걸 실증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일본∙한국∙싱가포르∙대만 등이 이를 증명한다. 기술강국이자, 최대시장인 미국과의 대치 속에서 이뤄내야 한다는 점도 기존 함정 탈출 경로와 다르다.  
 
중국이 성장엔진을 갈아 끼워 중진국 함정을 돌파할 수 있을지는 속단할 수 없다. 그러나 산업 '품질'이 고급화되고 있다는 건 분명해 보인다. 성공에 가까워질수록 기존 선진국과는 다른 '기이한 선진 경제체'가 하나 더 탄생할 가능성은 커진다. 지난 45년 경제성장이 그랬듯, 중국의 새로운 실험이 다시 시작됐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