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p digital character assassination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Stop digital character assassination (KOR)

The country’s top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SNU), has been implicated in an upgraded case of the “Nth Room” scandal, which involved the infamous chat room where illicit sexual contents were shared and distributed via the encrypted messaging app Telegram in 2020.

Two SNU male graduates were arrested for creating and distributing deepfake-based sexually exploitive content of SNU female students and graduates by using their photos and social media content. Deepfake is a serious crime to humanity that exploits face and image swap technologies to produce fake materials. The government must toughen its investigation and punishment on digital character assassination, and find effective ways to prevent such shameless crimes in the future.

The latest crimes have been committed for quite a lengthy period. A 40-year-old SNU graduate victimized 48 female SNU graduates from July 2021 to last month, and another 30-something SNU graduate victimized 28 female graduates from April 2021 through November 2022. But they were not caught for their crimes which lasted nearly three years.

The two alumni of SNU reportedly communicated through Telegram without meeting one another. It is shocking that the alumni of a prestigious university used their school connections to exploit female students from their school. The police also caught three accomplices who downloaded and shared the illicit materials. Police officers are chasing additional predators involved in the case.

Regrettably, however, the police’s early response was sloppy. Some victims filed complaints with four police stations after finding that they became victims of the crime, but the police turned down all the complaints, citing difficulties of tracing the two suspects. The case was picked up only after the cyber investigation team at the Seoul Metropolitan Police Agency was ordered to investigate the case by the National Office of Investigation under the National Police Agency. If law enforcement authorities had moved faster through the involvement of the cyber investigation team, victims could have been saved from further suffering.

Digital sex crimes spread secretly through underground means. Investigation methods, regulations and punishment have been strengthened since the breakout of the Nth Room case three years ago, but this recent case suggests that we have a long way to go until fixing the loopholes. Above all, the authorities must take extra care for the victims not to suffer secondary damages, and predators must be caught to face their due punishment. The government must send a clear message that anyone committing such despicable sex crime will be found and receive grave punishments.
 
 
 
서울대판 N번방의 경고…디지털 '인격 살인' 엄벌해야
 
학교 동문 등 딥페이크 음란물 만들어 유포
교묘해지는 성범죄, 예방과 처벌 강화 시급
 
 
서울대에서 이른바 ‘N번방’ 사건을 연상케 하는 디지털 성범죄 사건이 발생했다. 경찰은 같은 학교 학생을 포함한 여성 수십 명을 상대로 불법 합성물을 만들어 온라인으로 퍼뜨린 30대 남성 두 명을 최근 구속해 검찰에 넘겼다고 밝혔다. 이들은 피해 여성들의 졸업 사진이나 소셜미디어 사진 등을 음란물과 합성한 뒤 온라인 메신저 텔레그램을 통해 유포한 혐의를 받는다. 특정인 얼굴을 다른 이미지와 합성하는 ‘딥페이크’ 기술을 악용한 것으로 엄벌에 처해야 할 디지털 인격 살인 범죄다. 철저한 수사와 가해자 처벌 강화, 재발 방지책 마련이 필요하다.  
 
이번 사건에선 장기적이고 계획적인 범죄의 정황이 속속 드러난다. 피의자 중 한 명은 2021년 7월부터 지난 4월까지 여성 48명을, 다른 한 명은 2021년 4월부터 이듬해 11월까지 여성 28명을 상대로 범죄를 저질렀다. 하루 이틀도 아니고 3년가량이나 비슷한 범죄를 저질렀는데 그 사실을 오랫동안 들키지 않았다는 게 놀랍다.  
 
이들은 서울대 동문으로 서로 얼굴도 보지 않고 텔레그램으로만 소통했다고 한다. '지성의 전당'이란 대학에서 같은 학교 동문 등을 상대로 이런 악질적 범죄를 저지르다니 더 충격적이다. 두 사람에게서 불법 합성물을 전달받아 퍼뜨린 공범 세 명도 경찰에 검거됐다. 경찰은 다른 공범이 더 있을 것으로 보고 추적 중이다.  
 
경찰의 초동대처에 강한 아쉬움이 남는다. 일부 피해여성들은 직간접적으로 피해 사실을 알게 되자 경찰서 네 곳에 각각 고소장을 접수했다. 하지만 해당 경찰서에선 “피의자를 특정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수사중지나 검찰불송치를 결정했다. 이후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의 지시로 서울경찰청 사이버수사대가 재수사에 착수하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익명성이 강한 텔레그램의 특성 때문에 초동수사가 쉽진 않았겠지만 사안의 중대성을 고려하면 경찰이 좀더 일찍 적극적으로 나서야 했다. 그랬다면 피해자들이 겪는 마음의 고통을 조금이라도 덜어줄 수 있었을 것이다.  
 
디지털 성범죄는 음성적인 공간에서 은밀하게 퍼져 나가는 특성이 있다. 2020년 텔레그램 N번방 사건 이후 현장수사 관행이나 기술적 단속조치, 관련 사법제도 개선이 이뤄졌다 하지만 이번 사건에서 보듯 아직 갈 길이 멀다. 성범죄가 날로 교묘해지고 다양해지는 현실에서 다각적이고 근본적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 무엇보다 피해자가 '2차 가해'로 고통받지 않도록 세심한 배려가 필요하다. 성범죄 가해자에 대해선 신속하고 끈질긴 수사로 끝까지 응분의 죗값을 물어야 한다. 언제 어디서든 성범죄를 저지르면 결코 빠져나가지 못하고 엄중한 처벌을 받는다는 인식을 확고히 심어줘야 한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