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nd of cities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The end of cities (KOR)

LEE DONG-HYUN
The author is the deputy director of the industry 1 team at the JoongAng Ilbo.

On why humans live in groups in an organized manner, many scholars have presented theories. Primatology pioneer Sherwood Washburn’s (1911-2000) theory is still considered universal.

The first modern humans appeared in Africa, and a dry spell hit 200,000 years ago. As the humans faced a shortage of food, they chose to migrate to Asia.

In the process of that migration, evolution to bipedalism took place to help them find food and protect from enemies while moving.

However, bipedalism posed the humans a fatal dilemma, which Washburn called “obstetric dilemma.” To walk on two feet, human pelvis became smaller. However, as intelligence was developed, the size of the brain got bigger. As the size of the newborn head is too large for the parturient canal of the mother, giving birth was harder for humans than other animals.

Fetus and newborn babies use most of their nutritional intake to develop their brain. Other animals can walk and hang onto their mothers as soon as they are born, but for this reason, human infants are too helpless.

Humans could have failed to reproduce and gone extinct, but managed to find a solution in community childcare. People helped each other to give birth and raise children. Group living was essential for cooperative childcare. With inferior physical traits, community living was also helpful to defend themselves from attacks of predators.

Humans built cities, using the unique community living as a weapon. Farming was more advantageous in strengthening the power of groups than food-gathering or nomadic lifestyles. Humans also built cities to maximize the power of the groups. That’s how the humans dominated Earth.

Some predict that the end of cities may begin after the Covid-19 outbreak. While cities may not disappear altogether, the current lifestyle of large-scale assembly and close contact may not continue.

Epidemics have already changed urban systems a number of times. The Plague led to urban zoning, and cholera resulted in the creation of water and sewage systems. How will post-corona cities change? Without extreme dispersion — and individualization — we may not be able to prevent infectious diseases from spreading. The “physical community life” that modern humans have built may disappear in the future.



도시의 종언
이동현 산업1팀 차장


인류가 조직적인 집단생활을 하는 이유에 대해선 이미 여러 학자가 답을 내놨다. 현생인류 연구의 선구자인 셔우드 워시번(1911~2000)의 이론은 아직도 보편적인 것으로 여겨진다.

최초의 현생인류가 탄생한 아프리카는 20만 년 전 건기가 찾아왔다. 먹을거리가 부족해진 인류는 아시아 지역의 대이동을 선택하게 됐는데, 이 과정에서 이족보행 진화가 이뤄졌다. 이동하면서 먹을 것을 찾고 적으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서였다.

하지만 이족보행은 인류에게 치명적인 딜레마를 안겨줬는데 워시번은 이를 ‘산과(産科)적 딜레마(Obstetric Dilemma)’라고 불렀다. 이족보행을 위해 골반은 작아진 반면, 지능이 발달하면서 뇌의 크기는 커졌다. 문제는 어머니의 산도(産道)에 비해 신생아의 머리가 너무 커 다른 동물에 비해 출산이 어려워졌다는 점이다.

뱃속의 태아는 물론, 태어난 아기도 섭취한 영양분의 대부분을 뇌의 발달에 사용한다. 다른 동물이 태어나자마자 걷고 어미의 몸에 매달릴 수 있지만, 인류의 신생아가 너무도 무력한 건 이런 이유에서다.

번식하지 못해 멸종할 수도 있었던 인류는 해결책을 찾아냈다. 바로 공동육아다. 서로 출산을 돕고 아기를 함께 키웠다. 공동육아를 하려면 집단생활이 불가피했다. 열악한 신체조건 때문에 다른 동물의 공격을 막아내는 데도 집단생활이 유리했다.

인류는 특유의 집단생활을 무기로 도시를 건설했다. 채집이나 유목보다 농경 생활이 집단의 힘을 키우는 데 유리했고, 도시를 건설해 집단의 힘을 극대화했다. 인류가 지구를 정복할 수 있었던 건 이런 이유에서였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도시의 종언이 시작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도시 자체가 사라지진 않더라도 지금처럼 대규모로 모이고 부대끼며 살아가는 방식은 존재하기 어렵다는 얘기다.

이미 감염병은 도시 시스템을 여러 차례 바꿨다. 페스트는 도시의 구획화를, 콜레라는 상하수도 시스템을 만들었다. 포스트 코로나의 도시는 어떻게 될까. 극단적으로 분산화, 개인화하지 않고선 감염병의 전파를 막을 수 없을지도 모른다. 현생인류가 지켜온 ‘물리적 집단생활’이 사라질 수도 있다는 얘기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