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Fountain] The words of the year reflecting the times (KOR)
Published: 16 Dec. 2022, 11:02
The author is an international news team reporter at the JoongAng Ilbo.
At the end of each year, dictionary publishers and academies announce “the Word of the Year.” It is selected considering the frequency it was used on the internet, by public voting, and by its influence on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This year, a word darker than ever has been selected due to serious events such as the pandemic, the Ukraine war, inflation and economic recession, heightened nuclear threats, and North Korea’s missile provocations. The British Collins English Dictionary selected “permacrisis” as its word of the year, which means long-term instability and anxiety. The dictionary explained, “It sums up just how truly awful 2022 has been for so many people.”
A term pointing out the brazenness and selfishness of social elites also was selected. The U.S. Merriam Webster Dictionary chose “gaslighting,” or “the act or practice of grossly misleading someone, especially for one’s own advantage.” Examples of gaslighting would be doctors talking down of the conditions of women and minorities.
The phrase of the year selected by the Korean Professors News is “gwa-i-bul-gae,” which means “not correcting a fault is also a fault.” Prof. Park Hyun-mo of Yeoju University said, “It shows the standardized words and actions of the leaders in Korea.”
The Oxford English Dictionary chose a word describing the routine of people exhausted from anxiety and fatigue. “Goblin mode” is a slang term describing the behavior of “unapologetically self-indulgent, lazy, slovenly, or greedy, typically in a way that rejects social norms or expectations.” Instead of striving for achievements, goblin mode refers to the lethargic state of mind, which says it is more comfortable to give up.
The words of 2022 can be summed up as something like this: “We are tired of the shamelessness of selfish leaders amid the endless crisis.” Unfortunately, as the crisis will continue into next year, an economic slump is inevitable, according to The Economist’s The World Ahead 2023.
Where do you get the strength to confront the long crisis? Park Jung-ha, the miner who was trapped in an underground mine in October and rescued after 221 hours said, “I gathered the strength to endure when I believed I would not die here and the rescue team would come, and the miracle happened,” stressing the mindset of holding on to hope till the end. As the year ends and New Year approaches, I wish everyone endures with hope to see a miracle happening.
올해의 단어
박형수 국제부 기자
매년 연말이면 사전 출판사·학회 등에서 ‘올해의 단어’를 발표한다. 인터넷에서 사용된 빈도, 대중 투표, 정치·경제·사회에 미친 영향력 등을 고려해 선정한다. 그해의 시대상을 반영하는 키워드가 뽑힌다.
올해는 계속된 팬데믹과 전쟁, 인플레이션과 경기침체, 고조된 핵위협, 북한 미사일 도발 등 녹록지 않은 사건들로 어느 때보다 암울한 단어가 선정됐다. 영국 콜린스사전은 ‘퍼머크라이시스’(permanent+crisi, 영구적 위기)를 뽑았다. 장기간에 걸친 불안정과 불안이란 의미다. 콜린스는 “2022년이 얼마나 많은 사람에게 끔찍한 해였는지 압축적으로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사회 지도층의 뻔뻔함과 이기심을 지적한 용어도 선정됐다. 미국 미리엄웹스터사전은 ‘정치인이나 유명인이 제 이익을 위해 남을 속이고 선동하는 행위’라는 뜻의 ‘가스라이팅’을 골랐다. 의사들이 여성이나 소수인종의 질병을 무시하는 행위, 잘못을 저지르고도 “기분 나빴다면 유감”이라 표현하는 것 등을 가스라이팅의 한 예라 설명했다.
한국 교수신문이 선정한 올해의 사자성어 ‘과이불개(過而不改·잘못을 고치지 않는 것이 바로 잘못)’도 비슷한 맥락이다. 박현모 여주대 교수는 “우리나라 지도층 인사들의 정형화된 언행을 잘 보여준다”고 했다.
영국 옥스퍼드사전은 불안과 피로에 지친 일상을 묘사한 단어를 골랐다. 사회 규범이나 기대를 거부하는 방식으로 나태하고 방종한 행동 유형을 의미하는 ‘고블린(Goblin·덩치가 작고 사악한 도깨비) 모드’다. 성취를 위해 열정을 쏟는 대신 ‘포기하면 편해’ 식의 무기력한 마음가짐으로 살아가는 태도다.
올해의 단어들로 되돌아본 2022년은 ‘끝이 보이지 않는 위기 속에 이기적인 지도층의 뻔뻔함에 지친 우리’쯤으로 요약된다. 안타까운 사실은 내년 역시 위기가 이어져 경기침체가 불가피하다는 것이다.(이코노미스트, ‘2023 대전망’)
긴 위기에 맞설 힘은 어디서 얻을까. 지난 10월 광산 지하갱도에 갇혔다가 221일 만에 생환한 박정하 광부는 “‘죽지 않는다, 구조대가 올 거다’ 믿었더니 버틸 힘이 생겼고 기적이 일어났다”며 “끝까지 희망을 붙잡는 마음가짐”을 강조했다. 연말연시, 모두가 희망으로 버티며 기적을 맞이했으면 한다.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