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NK ENGLISH] 하나원 탈북민들, 희망과 걱정을 논하다

Home > National > North Korea

print dictionary print

[THINK ENGLISH] 하나원 탈북민들, 희망과 걱정을 논하다

North Korean defectors learn how to make castella cakes from a South Korean pastry chef at Hanawon on Monday. [JOINT PRESS CORPS]

North Korean defectors learn how to make castella cakes from a South Korean pastry chef at Hanawon on Monday. [JOINT PRESS CORPS]

탈북민들이 월요일(7월 10일) 하나원에서 카스텔라 케이크를 만드는 법을 하나원에서 교육받고 있다. [공동취재단]
 
 
 
Defectors open up about hopes, concerns at Hanawon
하나원 탈북민들, 희망과 걱정을 논하다  
 
 
 
Korea JoongAng Daily 1면 기사
Tuesday, July 11, 2023
 
 
 
From the outside, Hanawon appears to be a school like any other, with its gable-roof, red-brick buildings perched on a verdant countryside road about an hour's drive south of Seoul.
 
perch: 놓여있다. 앉아있다
verdant: 신록의, 파릇파릇한
 
서울 남쪽으로 차로 한 시간 정도 녹음이 우거진 지방도로를 따라가다 보면 붉은 벽돌에 기와 지붕의, 학교처럼 생긴 하나원 건물에 도착한다.
 
 
 
But instead of featuring chalkboards and standard rows of desks, classrooms inside Hanawon resemble different workplaces — one looks like a hospice ward, lined with beds and intravenous drip stands; another, a pastry kitchen, replete with metal tables stacked with flour and butter.
 
ward: 병동
replete: 가득한
intravenous: 정맥으로 들어가는, 정맥주사의
 
하지만 하나원 안에 있는 교실은 칠판이나 줄 맞춘 책상들 대신 다양한 직업 현장을 재현하고 있다. 한 곳은 호스피스 병동을 모방한 침대와 정맥주사 거치대가 설치돼 있고 한 곳은 제과실을 재현하여 금속 테이블 위에 밀가루와 버터가 가득히 쌓여 있다.
 
 
 
In many ways, Hanawon — officially known as the Settlement Support Center for North Korean Refugees — is a school, but one for teaching people who have escaped near-constant starvation and hardship in North Korea, and later a life of hiding in China, how to make their own way in South Korea.
 
near-constant: 지속적인
starvation: 기아, 굶주림
hardship: 고난
 
공식 명칭이 ‘북한이탈주민정착지원사무소’인 하나원은 여러 면에서 교육기관이다. 하지만 북한에서의 잦은 굶주림과 고난에서 탈출한 후 중국에서 은신생활을 했던 탈북민들이 스스로 우리나라에 정착할 수 있도록 교육시키는 기관이다.
 
 
 
The job training institute at Hanawon, which opened in June 2020, marks the center’s slow pivot away from simply helping new defectors adapt to offering practical training in 22 different fields — including hospice care, nursing, sewing, pastry making, and hair and makeup — to defectors who arrived earlier.
 
pivot: 중심축. 돌리다
defector: 망명자
adapt: 적응하다
 
2020년 6월 문을 연 하나원의 직업교육관은 과거 단순히 탈북민들이 적응하는 데 도와주는 것을 넘어 호스피스 돌봄, 재봉, 제빵 그리고 미용을 포함한 22개 분야의 실질적 직업훈련을 제공하고 있다.
 
 
 
Officials at Hanawon also refer to defectors during their three-month stay at the center as “students” or “trainees,” signaling they are moving past the refugee stage of their lives and preparing for a new, unfamiliar phase, one that will almost certainly involve making a livelihood in South Korea’s highly competitive and capitalist society.
 
refugee: 난민
capitalist: 자본주의적인, 자본주의자
 
하나원 관계자들은 3개월 동안 머무는 탈북민을 학생 또는 교육생으로 부르는데, 이는 이들이 난민의 단계를 넘어 치열하게 경쟁적이고 자본주의 사회인 우리나라에서 스스로 생계를 책임질 수 있도록 준비시키기 위해서다.
 
 
 
During an on-site question-and-answer session hosted on Monday by Hanawon and the Unification Ministry to mark the 24th anniversary of the center’s opening, three female defectors — all of whom had arrived in South Korea earlier this year after varying periods of time hiding in China — drew a desperate portrait of their earlier circumstances.
 
on-site: 현장의
varying period: 각자 다른 기간
portrait: 묘사하다
 
월요일 (7월 10일) 통일부와 하나원이 주관한 하나원 개원 24주년 기념행사의 질의응답 순서에 중국에서 은신하다 올해 초 우리나라로 들어온 여성 탈북민 세 명은 과거 북한에서의 절박한 삶을 취재진에게 묘사했다.
 
 
 
One female defector in her 20s, whom the ministry identified only as “C” for security reasons, said she felt compelled to flee her hometown in an unspecified North Korean region near China because the crackdown on cross-border smuggling made it almost impossible to eke out a living, or even obtain enough food to survive.
 
compel: 강요하다
crackdown: 단속
smuggling: 밀수
eke out: 생계를 이어나가다
 
이 중 20대의 여성 C씨(정부는 안전상의 이유로 C라고만 밝혔다)는 북한 당국의 강화된 밀수 단속으로 생계는 물론 생명에 위협이 될 정도의 심각한 굶주림 때문에 중국 국경과 맞닿고 있는 고향을 떠날 수 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Times got really hard in 2017 and 2018,” she recalled, adding that the mountainous terrain in her area “makes it hard to grow food, but we weren’t getting any necessities through the state.” Another defector in her 30s, who went only by “B,” said, “I thought I would die if I didn’t leave North Korea.”
 
terrain: 지형
necessity: 생필품
 
C씨는 “2017년과 2018년 상황이 정말 악화됐다”며 특히 자신이 살고 있던 산악지대는 “식량을 재배할 수 없는 상황에서 당국으로부터 생필품도 전혀 얻지 못했다”고 말했다. 30대의 탈북민 여성 B씨는 “북한을 벗어나지 않으면 굶어 죽을 것 같았다”고 전했다.
 
 
 
Hardship in the North appears to vary by region, with the Unification Ministry’s data showing around 85 percent of North Koreans who have successfully defected to the South are originally from the North’s Hamgyong and Yanggang provinces, which lie in the rugged, remote northeastern corner of the peninsula and possess far less arable land than found in the south.
 
by region: 지역별로
rugged: 험난한
remote: 외진
arable: 곡식을 경작하는
 
통일부에 따르면 지역별로 고난의 차이가 있다. 통일부에 따르면 한국으로의 탈북에 성공한 탈북민 중 85%가 함경북도와 양강도 출신이다. 이 지역은 한반도의 험하고 외진 북부에 위치한 곳으로 남쪽에 비해 경작할 수 있는 땅이 상당히 부족하다.
 
 
 
The number of successful defections has also fallen steeply since the start of the pandemic, with only 67 North Koreans making it to the South last year, compared to a year average of over 1,000 since 2011, when current North Korean leader Kim Jongun took over.
 
steeply: 급격히
took over: 물려받다, 인계
 
코로나 팬데믹 사태가 발생한 후 탈북에 성공한 사람의 수는 급격히 줄었다. 지난해 우리나라로 탈북한 주민은 67명으로 김정은 위원장이 통치하기 시작한 2011년 이후 매년 평균 1000명이었던 것에 비하면 상당히 적은 수다.

WRITTEN BY MICHAEL LEE AND TRANSLATED BY LEE HO-JEONG [lee.junhyuk@joongang.co.kr, lee.hojeong@joongang.co.kr]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