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NK ENGLISH] 추석 때 남편 집 먼저, 아내 집 나중에 가는 이유

Home > Think English > Current Issues

print dictionary print

[THINK ENGLISH] 추석 때 남편 집 먼저, 아내 집 나중에 가는 이유

Where did it begin?
추석 때 남편 집 먼저, 아내 집 나중에 가는 이유  

 
Korea JoongAng Daily 5면 기사
Thursday, September 28, 2023  
 
The deep-rooted inequality comes from Confucian traditions of the Joseon Dynasty (1392-1910) captured by the phrase chulgaoein (pronounced chul-ga-way-in), which deemed that once a woman married, she belonged to her husband’s side of the family and was no longer a part of her birth family.

 
deep-rooted: 뿌리 깊은  
Confucian: 유교의  

inequality: 불평등  
deem: ~로 여기다  
 
뿌리 깊은 불평등은 조선시대(1392~1910) 출가외인이라는 말로 대표되는 유교 전통에서 비롯했다. 출가외인이란 여자가 한번 결혼하면 남편 가족에 속하게 되고 더 이상 여자가 태어난 가족의 일원이 아니라는 뜻이다.  
 
Under the chulgaoein rule, women of Joseon lived with the husband’s side of the family for the rest of her life and was only allowed to visit her own parents on very rare occasions. It was common for a woman to not be permitted to ever return, and families that let the woman visit her family were seen as generous.
 
common: 공통의
generous: 관대한  
 
출가외인의 규범에 따라 조선시대 여자들은 평생 남편 가족과 살았고 친정 부모를 방문할 수 있도록 허락을 받는 것은 아주 드문 경우였다. 여자들은 친정으로 돌아가는 것이 허용되지 않았고 그럴 수 있게 해주는 건 아주 관대한 처사로 여겨졌다.  

 
So around Chuseok and Seollal during the olden days, there was no fussing over when women got to go see their own family or why they were the only ones in the kitchen. Joseon’s dominant agricultural structure meant that women stayed home and took care of the household while men worked outside in the field.
 
fussing: 소동
dominant: 우세한
household: 가정, 가구

Related Article

 
과거에는 추석과 설날에 언제 여자가 자신의 가족을 보러가는지, 혹은 왜 부엌에는 여자들만 있는지에 대한 논란이 없었다. 조선시대 지배적인 농경사회 구조에서는 여자들은 집에 머무르면서 집안일을 돌보고, 남자들은 바깥에서 일을 하는 것이었다.  

 
Moder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led the younger generation to leave their home towns and start living in smaller families in the city, which is right when the issues we see today started springing up.

 
modernization: 현대화, 근대화
industrialization: 산업화  
 
근대화와 산업화로 인해 젊은 세대들은 고향을 떠나 도시에서 핵가족을 이뤄 살게 됐고, 오늘날 우리가 보는 이런 문제들이 대두되기 시작했다.  
 
The “once married, no longer family” principle mostly died with the Joseon kingdom, but the remnants of an undying mindset, together with a perpetually patriarchal society, meant that women still had to fight for their right to visit her family, let alone boycott a ritual that was built entirely upon her unrequited labor.
 

remnant: 남은 부분
undying: 불멸의, 영원한 
mindset: 사고방식  
perpetually: 영구히, 영속적으로  
patriarchal: 가부장적인  
unrequited: 상대방이 알아주지 않는, 짝사랑의  
 
출가외인의 규범은 조선시대가 끝나면서 거의 사라졌지만 사고방식의 일부가 가부장적인 사회 속에서 사라지지 않고 남아서 여자들은 여전히 여자들만의 노동으로 이뤄지는 (차례라는) 의식을 보이콧하거나 자신의 가족을 방문하기 위해 싸워야 했다.  

 
"Our culture has been built on a Confucian idea, and it's only natural that the rituals also remain even though time has passed," Koo Jeong-woo, professor of sociology at Sungkyunkwan University said.  

 
성균관대 사회학과 구정우 교수는 “우리 문화는 유교 이념에 기반했으며 시간이 흘렀는데도 여전히 그 풍속이 남아있다”고 말했다.  

 
"But times have changed and so have the gender roles, so the conflicts that arise may not just be about the specific work that must be done but the idea of women's rights in general. Many people now celebrate the public holidays in different ways, and the discussions surrounding women's labor and family structure is the main cause of it.“

 
conflict: 갈등, 마찰  

 
구 교수는 “최근의 갈등은 어떤 구체적인 일거리나 방식 때문에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변화한 시대와 변화한 성역할, 나아가 변화하고 있는 여성 인권에 대한 개념 때문”이라며 “많은 사람들은 이제 각자 다른 방식으로 명절을 기념하고 여성의 노동과 가족 구조에 대한 논의도 그 때문이다”라고 말했다.  
 
Besides the obvious equal rights awareness that would have to make its way into the minds of the older generations, experts are also calling for traditional rituals such as charye to be simplified so that the idea of Chuseok and Seollal can actually bring joy instead of stress.
 
awareness: 인식
simplify: 단순화하다  
 
전문가들은 구세대의 사고방식에 동등한 권리에 대한 인식이 확실히 자리잡아야 하며 차례 같은 전통 의례 역시 간소화해서 추석이나 설날이 스트레스가 아니 즐거움을 가져다주는 명절이 돼야 한다고 지적한다.  
 
“You don’t have to put jeon on a charye table,” Choi Young-gap, head of Korea’s largest Confucian scholars’ association Sungkyunkwan Confucian Association, said in a press conference last year before Chuseok.

한국 최대 유교학자들의 단체인 성규관유교회 최영갑 회장은 지난해 추석 전 기자회견을 열고  
“차례상에 전을 올릴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Traditions should be kept where they can, but details should be up to the families that actually carry them out, he said. He recommended that a simplified charye table only have one plate of namul, fried food, kimchi and soup each, together with four different fruits.
 
be up to: ~에 달려있다  
 
전통은 가능한 지켜져야 하지만 디테일은 실제로 그걸 수행하는 가족에 달려있다고 그는 말했다. 또 그는 간소화된 차례상은 나물 한 가지, 튀김 한 가지, 김치와 국, 그리고 4가지 다른 과일이면 된다고 제시했다.   
 
Another key point is accepting the changes of society and engaging in an open and friendly discussion surrounding the new phenomenon, instead of viewing it as all negative, according to Cho Eun-suk, a professor of family welfare at Sangmyung University.

상명대 조은숙 가족복지학과 교수는 또 다른 핵심 포인트는 사회 변화를 받아들이고 새로운 현상을 부정적으로 보지 말고 개방적이고 우호적인 토론을 해 나가는 것이라고 말했다.  
 
"It's not Chuseok or Seollal that's the problem — the problem has been there all along for families that clash with one another," she said.
 
clash: 충돌

 
그는 “추석이나 설날이 문제가 아니다, 보통 충돌하는 가정에는 이미 다른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People these days spend the public holidays in all different ways, so it's wrong to say that these occasions themselves are the problem. It shouldn't be about who goes to which house first or who does what chore when, but people should learn how to communicate in a way where they don't hurt each other and listen to each other.  
 
조 교수는 “요즘 사람들은 모두 다른 방식으로 명절을 지낸다. 따라서 이런 상황이 문제라고 말하는 것이 틀린 것이다. 누구의 집에 먼저 가고 누가 어떤 일을 하는지에 대한 것이어선 안된다. 그것보다 서로 상처주지 않고 서로의 말을 들을 수 있는 방식이 무엇인지 배우는 것이 더 맞다”고 말했다.  

 
 
 

WRITTEN BY YOON SO-YEON AND TRANSLATED BY PARK HYE-MIN [yoon.soyeon@joongang.co.kr, park.hyemin@joongang.co.kr]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