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vital mix of speed and challenge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A vital mix of speed and challenge (KOR)

LEE DONG-HYUN
The author is the deputy head of the industry teamof the JoongAng Ilbo.


In the inauguration message that Hyundai Motor Group Chairman Euisun Chung sent to the employees and executives on Oct. 14, he mentions an unexpected name. Recalling the efforts of the employees and executives that made Hyundai Motor Group today, he mentioned his grandfather and Hyundai Group founder Chung Ju-yung, his father Chung Mong-koo and late chairman Kim Cheol-ho.

Kim is the founder of Kia Motors. Starting with Gyeongseong Engineering he established in 1944, Kim began making automobiles. The name of the company was changed to Kia later. In a sense, it is the oldest Korean automaker, founded before Hyundai, in 1967, and SsangYong, in 1955.

Struggling from financial difficulties during the 1997 Asian Financial Crisis, Kia was acquired by Hyundai Motor. It had assembled and produced cars for foreign makers like Matsuda, Peugeot and Fiat. When it could not produce sedans due to government’s automobile industry restructuring in the Fifth Republic, Kia developed Bongo, now a synonym for vans in Korea.

As Hyundai and Kia merged and became Hyundai Motor, there used to be a subtle competition among employees from the two companies. Those from Hyundai Motor, especially from Hyundai Mobis, where honorary Chairman Chung Mong-koo managed, used to be more influential. They joked about a class system based on their backgrounds.

As Hyundai Motor Group became the leader in the industry, some people miss Kia’s pioneering corporate culture. Kia constantly challenged new fields — despite some setbacks — introducing Korea’s first convertible roadster Elan and world’s first urban SUV. After the merger, the culture is more stability-oriented.

The proclamation in the Euisun Chung era is not to forget Kia’s root. The company could be the fifth largest carmaker in the world today, thanks to Hyundai’s speedy pursuit and Kia’s unyielding spirit.

Experts say communication should be the key under Chung’s leadership. Rather than the top-down decision-making process, the company needs to have members communicate internally and externally to share technologies rather than trying to do everything within the boundaries of incorporation.






김철호 기아차 창업자
이동현 산업1팀 차장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은 지난 14일 전 임직원에게 보낸 취임 메시지에서 뜻밖의 이름을 언급했다. 정 회장은 지금의 현대차그룹이 있기까지 임직원의 노력을 떠올리며 할아버지인 고(故) 정주영 현대그룹 창업자, 아버지 정몽구 현대차그룹 명예회장과 함께 김철호 회장을 언급했다.  
 
고(故) 김철호 회장은 기아자동차의 창업자다. 1944년 경성정공을 설립해 자동차를 만들기 시작했다. 사명은 이후 기아산업으로 바꿨다. 굳이 따지자면 현대차(1967년 설립), 쌍용자동차(1955년 설립)보다 역사가 긴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자동차 회사다.  
 
기아차는 1997년 외환위기로 어려움을 겪다가 현대차에 인수됐다. 이전까지 마쓰다·푸조·피아트 같은 해외 완성차를 조립 생산했고, 5공화국 정부의 ‘자동차 공업 합리화 조치’로 승용차를 생산하지 못하자 승합차의 대명사가 된 ‘봉고’를 개발해 대성공을 거뒀다.  
 
현대차와 기아차가 합병해 현대자동차그룹이 됐지만 불과 수년 전만 해도 어디 출신인지, 어디 소속인지를 놓고 미묘한 분위기가 있었다. 현대차 출신, 그중에서도 정몽구 명예회장이 경영했던 현대정공(현 현대모비스) 출신은 어깨에 힘이 들어갔다. 성골, 진골이니, 6두품이니 하는 우스갯소리도 있었다.  
 
현대차그룹이 한국 완성차 업체의 대표 선수가 되면서 옛 기아차의 도전적인 기업문화를 그리워하는 이들도 적지 않았다. 한국 최초의 컨버터블 로드스터 ‘엘란’이나 세계 최초의 도심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스포티지처럼 비록 실패하더라도 끊임없이 도전했던 문화가 현대차와 합병 뒤 너무 안정 지향적으로 바뀌었다는 지적이다.  
 
정의선 시대의 일성(一聲)이 기아차의 뿌리를 잊지 않겠다는 것이었단 사실은 의미가 있다. 전격전처럼 이뤄지는 이른바 ‘현대 속도’에, 실패를 두려워 않는 기아차의 도전정신이 있었기에 오늘날 세계 5위의 글로벌 자동차 기업이 된 것이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정의선 시대의 화두는 ‘소통’이 돼야 한다고 말한다. 상명하복식 의사결정이 아니라 내부 구성원과 소통하고, 모든 걸 다 하려는 종속 계열화가 아니라 필요한 기술을 나눠 받는 외부와의 소통이 필요하단 의미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