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o early to be relieved, too much homework to do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Too early to be relieved, too much homework to do (KOR)

The U.S. government has decided to waive the federal restrictions on China-bound shipments of U.S. chipmaking equipment for Samsung Electronics and SK hynix in their Chinese operations indefinitely.

In October last year, Washington imposed a set of stringent rules restricting exports of technologies and equipment of U.S. origin for the production of advanced chips to China. Memory giants Samsung and SK hynix were given the one-year grace period. The Korean government has been persuading its U.S. counterpart to extend the waiver. The Korean presidential office said the two Korean memory majors will be designated as the “verified end users” (VEU) who would not need to go through a separate approval process from Washington. The VEU status will free Korean companies from the U.S. export ban, as they would not have to report or seek prior approval to supply factory equipment in China.
Samsung Electronics depends on its factory in Xian for 40 percent of its NAND flash output, while SK hynix’s lines in Wuxi and Dalian are respectively responsible for 40 percent of its DRAM and 20 percent of NAND memory shipments. The waiver removes uncertainties about chip operations and upgrades in China.

But the government still has a lot of work to do to ease the burden for Korean chipmakers. The CHIPS Act is composed of a series of regulations. Companies receiving U.S. subsidies for facility investment are barred from expanding their production capacity in China beyond 5 percent for advanced chips — and 10 percent for older technology. The legislation chains chipmakers to sustain operations in China just at the current level. Samsung and SK would have to reexamine their long-term operation in China. The United States will likely toughen export curbs on China since the latest Huawei smartphone was found to have been powered by locally-made 7-nanometer chips.

But Korean chipmakers don’t get due support from their government at home. According to Rep. Yang Hyang-ja, the government has yet to set a budget to build the infrastructure for massive chip clusters in Gyeonggi and Gumi, North Gyeongsang. The Gyeonggi provincial government has asked for 8.6 trillion won ($6.4 billion) and Gumi 3.3 trillion won. Budgeting for other cutting-edge industrial complexes was no different.

President Yoon Suk Yeol said the chip race is a national-level competition. But his commitment is doubted by companies. The Austin city government of Texas supplies the power, water and all other infrastructure for Samsung’s chip factory there, while Samsung only pays for its use. Taiwan also provides the infrastructure for chip facilities for free. Competing countries are going all-out to support their chip bases, but our government is just feigning to help. It can never win the chip war in such ways.
 
 
 
반도체 대중통제 유예…한숨 돌렸지만 안심은 이르다
 
삼성ㆍSK 중국 공장, 장비 반입 통제 벗어나
·반도체특화단지 등 지원 차질없이 이뤄져야
 
 
미국정부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중국공장에 대해 미국산 반도체장비 반입을 무기한 허용하기로 했다.  
 
지난해 10월 미 정부는중국내 반도체 생산기업에 첨단 반도체 기술·장비 수출을 금지했는데, 삼성과 SK하이닉스는 1년간 유예조치를 받았다. 그간 우리정부는 미 측과 유예기간 연장을 협의해왔는데, 이번에 별도 절차ㆍ기간 없는 허용이라는 성과를 거둔 것이다. 국내기업들이 ‘검증된 최종 사용자’로 지정돼 미 상무부의 별도 승인없이 장비를 중국에 반입할 수 있게 된 것으로 사실상 미국의 수출통제를 적용받지 않는 것이다.
 
현재 삼성전자는 중국 시안 공장에서 전체 낸드 플래시의 40%를, SK하이닉스는 우시와 다롄에서 D램의 40%와 낸드의 20%를 생산한다. 이번 조치로 우리 반도체기업의 중국공장 운영과 투자에 대한 큰 불확실성이 걷혔다고 볼 수 있다. 첨단 장비도입이 막히면 두회사의 중국 반도체생산에 상당한 차질이 생기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숨 돌리긴 했지만 안심할 수만은 없는 상황이다. 기술·장비 수출통제와 별개로 미 반도체 지원법(칩스법)을 통한 규제는 여전하다. 미국은 자국 보조금을 받는 기업의 중국공장 생산능력(웨이퍼 기준) 확장을 첨단반도체는 5%, 구형 반도체는 10%로 제한했다. 결국 중국내 반도체공장을 계속 돌릴 수 있게 허용한다지만, 속내는 ‘현상유지’만 하라는 게 미국 의도라는 해석이 가능하다. 삼성과 SK 모두 중국내 반도체사업에 대한 장기적 전략재검토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게다가 중국 화웨이가 7나노급 반도체를 탑재한 스마트폰을 출시한 것을 계기로 미국이 대중수출 통제망을 한층 강화해나가는 것도 국내 업체엔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다.  
 
그러나 치열한 글로벌 반도체 전쟁에서 우리기업들을 힘 빠지게 만드는 진짜 문제는 우리 내부에 있다. 양향자(한국의희망) 의원에 따르면 정부가 전국 지방자치단체의 신청을 받아 지난 7월 선정한 반도체 특화단지(경기도ㆍ구미)의 필수 기반시설(인프라)에 들어갈 국가예산이 아직 한푼도 배정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도체 특화단지 조성에 필요한 예산은 경기도 8조6156억원, 경북 구미 3조3360억원이다. 나머지 첨단산업 특화단지도 사정은 마찬가지였다.
 
이러니 “반도체 경쟁은 국가총력전”(윤석열 대통령)이라는 정부의 의지가 민간에 와 닿지 않는 것이다. 삼성의 미국 오스틴 반도체공장은 전력과 용ㆍ폐수 등  모든 인프라를 오스틴 시에서 구축ㆍ운영하고 삼성은 사용료만 낸다. 대만도 정부가 인프라시설 전체를 기업에 제공한다. 경쟁국은 빛의 속도로 기업을 지원하는데, 우리는 시늉만 하는 꼴이다. 이래서는 국가의 명운이 걸린 반도체 전쟁에서 승기를 잡을 수 없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