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lling a ‘language of truth’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Selling a ‘language of truth’ (KOR)

 KANG HYE-RAN
The author is the cultural news editor of the JoongAng Ilbo.


“It was a challenging yet rewarding experience to be a part of a film made by second-generation Korean Americans,” said Youn Yuh-jung on her Oscar nomination for her supporting role in “Minari.” As she read the English script and realized that it was the autobiographical story of the director, she accepted the role. In the film, she plays Sunja, who flies to a farm in Arkansas to support her daughter Monica’s family. It is a portrayal of director Lee Isaac Chung’s maternal grandmother.

According to Chung, his grandmother lost her husband during the Korean War and raised her daughter by picking clams by the sea. How would she have felt seeing her daughter struggling on the vast farm under the sizzling sun? Young Isaac knew little about this and complained that she was not like a real grandmother. Now that Chung is his father’s age, he projected that sentiment in “Minari.” His “language of truth” was first recognized by the Golden Globes and won six nominations at the Academy Awards.

Youn may have gotten onboard thanks to her own experience. In the mid-1970s, she married singer Cho Young-nam, and after divorcing, she worked as a supermarket cashier at the minimum wage of $2.75. The period partly coincides with the time when Chung’s parents struggled to settle in America. America is a country of immigration and has been an undisputable favorite destination for immigration since its independence. In the 1980s, 350,000 Koreans moved to the United States. As of 2010, the Korean American population in the United States was about 1.7 million. We often hear about Korean American politicians in elections. Second-generation immigrants like Chung and actor Steve Yeun’s success means that the Korean American cultural assets have grown over generations.

In Exodus, an economic analysis of global immigration, Paul Collier claims that the fundamental motive for migration is a desire to join a more productive social model. The problem is that trying a new life in a rich country requires a large early investment. The reward for that labor is bigger, but immigrants often have lower social status than in their native countries. This improves in later generations. In his analysis model, it is interesting that the status of the origin country improves in the process as well. In the course of sharing manpower, capital and ideology of the diaspora of the rich countries, the lives of poor countries improve as well.

It is a convincing argument considering the film industries of Korea and America.

Would the triumph of “Parasite” last year be possible without the Korean capital, community and human networks established in American society? “Minari” is the second season of the success story from such exchanges, and Lee Isaac Chung and Youn Yuh-jung are the heroes who accomplished this with their celebrated “language of truth.”


정이삭과 윤여정
강혜란 문화팀 부장


“교포 2세들이 만드는 작은 영화에 힘들지만 보람 있게 참가했다고 생각했는데….” 영화 ‘미나리’로 아카데미 여우조연상 후보에 오른 윤여정이 얼떨떨하다며 밝힌 소감이다. 그는 처음에 영어로 된 대본을 읽다가 감독의 자전적 이야기란 걸 간파하고 출연을 수락했다. 그가 연기한 순자는 딸 모니카(한예리) 가족을 뒷바라지하기 위해 노구를 이끌고 미국 아칸소 시골농장으로 달려간다. 정이삭(리 아이작 정) 감독에겐 외할머니에 해당하는 인물이다.

정 감독에 따르면 한국전쟁 때 남편을 잃은 외할머니는 갯벌 조개를 캐서 딸을 키웠다. 그랬던 딸이 허허벌판 뙤약볕 농장에서 고군분투하는 모습이 어땠을까. 꼬마 정이삭은 그걸 몰랐고 “할머니는 진짜 할머니 같지 않다”고 투정을 부렸다. 아버지 나이가 된 정 감독은 그 애틋함을 담아 ‘미나리’를 만들었다. 골든글로브를 먼저 울린 ‘진심의 언어’에 아카데미 측은 총 6개 부문 후보로 답했다.

윤여정이 선뜻 나선 것은 그 자신의 이민 경험이 작용했을지 모른다. 1970년대 중반 가수 조영남과 결혼해 미국으로 건너간 그는 이혼 후 최저시급 2.75달러 슈퍼마켓 캐셔로 일했던 경험이 있다. 정 감독 부모가 미국 땅에 정착하려 안간힘을 쓰던 시기와 일부 겹친다. 미국이 애초 이민자의 나라이기도 하지만 한국에선 해방 후 부동의 이민 선호국 1위다. 1980년대에만 약 35만 명이 미국으로 건너갔다. 2010년 기준으로 미국 내 한국계 인구가 약 170만명이다. 선거 때면 한인 정치인 당선 소식이 심심치 않게 들리는 이유다. 이민 2세인 정 감독과 스티븐 연의 도약은 세대를 걸쳐 축적된 한국계 문화자본이 이만큼 커졌단 뜻이기도 하다.

전 지구적인 이주의 경제학을 분석한 책 『엑소더스』에서 폴 콜리어는 이주의 근본 동력을 더 생산성 있는 사회모델로 편입하려는 욕망으로 본다. 문제는 부유국에서 새 삶을 시도할 땐 초기 투자비용이 크단 점이다. 노동의 대가는 커질지언정 본국에서의 사회적 지위보다 더 낮게 편입되기 쉽다. 이게 개선되는 건 후대에 가서다. 그의 분석 모델에서 흥미로운 건 이 과정에서 출신국의 처지도 나아진단 점이다. 부유국의 디아스포라(해외에 흩어진 이주자들)와 지속적인 인력·자본·이념을 공유하는 과정에서 빈곤국의 삶이 개선된다는 논리다. 국가 전체를 떠나서 한·미 영화계만 봐도 고개가 끄덕여진다.

미국 사회에 자리 잡은 한인 자본과 커뮤니티, 인적 네트워크 없이 지난해 ‘기생충’의 쾌거가 가능했을까. ‘미나리’는 그런 교류가 낳은 성공담 2탄이고 정이삭과 윤여정은 ‘진심의 언어’로 이를 성취한 주인공들이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