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 more suspicions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No more suspicions (KOR)

Many suspicions have arisen over the way a petition to re-investigate the Cheonan sinking was handled by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On Friday, a presidential committee to shed light on the truth behind the tragic sinking in 2010 made a final decision to dismiss a request to revisit the case from Shin Sang-chul, a former member of a joint military-civilian investigation team on the incident. The presidential committee in December notified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of its decision to reopen the case after previously receiving the request from Shin, and then reversed its decision last week.
 
The Defense Ministry and Blue House kept mum on the suspicious developments for nearly four months until Shin’s petition and the presidential committee’s reversal of its earlier decision to revisit the incidence was disclosed by the JoongAng Ilbo. The ministry even hid the developments from surviving sailors of the Cheonan corvette and the families of 46 sailors, killed by a torpedo attack from a North Korean submersible off the coast of the Baekryeong Islands near the tense maritime border on the Yellow Sea. After the presidential committee’s decision to re-investigate the sinking was revealed by the JoongAng Ilbo, the bereaved families and survivors were outraged.
 
The Cheonan was found to have been sunk by a North Korean torpedo attack on March 26, 2010. The warship was cut into half by the so-called bubble jet effect from underwater explosions. Fourty-six sailors aboard the ship were killed and the ship is displayed at the headquarters of the Navy’s Second Fleet in Pyeongtaek, Gyeonggi. The cross section of the destroyed ship shows its steel frames severed vertically due to a strong explosion from under the ship.
 
No evidence of the warship running aground or colliding with a U.S. submarine, as claimed by Shin, could be found. No trace of the ship hitting an undersea rock was left. A U.S. submarine mostly heavier than 8,000 tons cannot sail in such shallow waters as the sinking spot on the West Sea. Besides, there is no sign of collision with a submarine on the surface of the ship. In the first and second trials of Shin, the court denied any possibility of the warship running aground at the time.
 
Shin’s claim that the warship simply struck aground is the same as letting North Korea off the hook. His argument basically constitutes a denial of our military’s conclusion that the warship sank by a North Koran torpedo. We cannot know why the presidential committee first accepted his petition instead of rejecting it from the start. There are suspicions that the committee attempted to re-investigate the sinking and gave it up after public opinion was getting worse after the paper’s revelation.
 
How could the people trust the Blue House and Defense Ministry? Could a government incapable of finding fault with a North Korean provocation improve inter-Korean relations? The government must make public all the lead-up to the committee’s decision not to revisit the incidence and apologize to survivors and the bereaved families for the shocking developments.
 

천안함 사건 재조사 과정, 투명하게 밝혀라

천안함 피격 사건 재조사 진정과 관련된 정부의 처리 과정이 의혹투성이다. 대통령 직속 군사망사고진상규명위원회(규명위)는 천안함 사건을 재조사해 달라는 신상철씨의 진정을 지난 2일 최종 각하했다. 그런데 규명위는 신씨가 지난해 9월에 낸 진정을 12월에야 재조사한다고 국방부에 통보했다가 이번에 다시 번복해 기각한 것이다. 문제는 천안함 피격 사건처럼 중요한 사안의 처리 과정이 중앙일보 보도로 공개되기 전까지 국방부와 청와대가 3개월 넘게 은폐했다는 점이다. 심지어 천안함 전사자 유가족과 생존 장병에게도 알리지 않았다. 규명위의 재조사 결정이 뒤늦게 알려지자 유족과 생존 장병은 크게 반발했다. 최원일 천안함 전 함장도 규명위와 국방부를 항의 방문했다.

'천안함 피격'은 2010년 3월 26일 밤 백령도 인근 해역에 침투한 북한 잠수정이 쏜 어뢰에 천안함이 침몰한 북한 도발 사건이다. 천안함은 북한 어뢰가 물속에서 폭발하면서 생긴 ‘버블젯’ 현상에 의해 두 동강 났다. 함정에 탔던 장병 가운데 46명이 전사했다. 그때 피해를 당한 천안함은 평택 2함대사령부에 전시돼 있다. 천안함의 파괴 단면을 보면 바다 아래에서 발생한 강력한 폭발력에 함정의 골조가 하늘을 향해 수직으로 꺾여 있다.

신씨 주장처럼 천안함이 암초에 좌초했다거나 미군 잠수함과 충돌했다는 어떠한 증거도 찾을 수 없다. 암초에 부딪혀 함정 아래에 깊게 파인 흔적은 없다. 또 8000t이 넘는 미 해군 잠수함은 천안함 피격 사건이 발생한 얕은 바다에 갈 수도 없다. 천안함에는 잠수함에 부딪혀 움푹 들어간 부위도 없다. 천안함 좌초설을 주장해 기소된 신씨에 대한 1ㆍ2심 재판부도 “좌초설은 근거 없다”고 이미 결론을 냈다.

신씨의 좌초설 주장은 천안함이 북한 어뢰에 피격되지 않았다는 게 핵심이다. 북한 도발에 면죄부를 주는 것과 다름없다. 천안함이 북한 어뢰에 피격됐다는 군의 발표가 모두 거짓이라고 부인하는 것이다. 그런데도 규명위가 신씨의 진상조사 요구를 처음부터 기각하지 않고 수용한 배경은 이해할 수 없다. 규명위가 이를 몇 달 동안이나 숨기며 몰래 조사하려다 언론 보도로 여론이 나빠지자 다시 기각한 것으로밖에 볼 수 없다. 신씨의 진정 사건을 보고받지 않았다는 국방부의 태도는 정직하지 못하다.

신씨의 터무니없는 주장을 시류에 따라 수용 또는 부정하는 청와대와 국방부를 어찌 국민이 믿을 수 있겠는가. 천안함 피격과 같은 북한의 도발을 엄중히 따질 능력도 없는 정부가 정상적인 남북관계 개선은 할 수 있을까. 청와대와 국방부는 이번 진정 사건의 처리 과정을 국민에게 낱낱이 공개하고 다시는 이런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아직도 정신적 후유증을 앓고 있는 천안함 전사자 유족과 생존자에게 먼저 엄중히 사과하기 바란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