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ose were the days’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Those were the days’ (KOR)

 KIM HYUN-YE
The author is a P Team reporter of the JoongAng Ilbo.


Men over age 14 who did not fulfill military duty and women.

The government once openly banned them from traveling abroad, and the reasoning was that the national economy was struggling.

In 1968, President Park Chung Hee ordered a ban on unnecessary travel. The purpose was to save foreign currency, so Koreans needed the government’s permission to study abroad. Even when a Korean did go abroad to study, it was impossible to invite a spouse or family members along. By today’s standards, that’s simply ridiculous, but that’s really how things were at the time.

Around that time, a law was legislated that when an educational civil servant goes abroad for research, a leave of absence should be processed and salary and research allowances should not be given. The professor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were affected by this law. After 71 professors were put in a leave of absence in 1966, their families complained that their livelihoods were threatened.

Going abroad was a privilege for the elite, a symbol of wealth. Unapproved overseas travel would make news. Newspapers reported that students at a private elementary school in Seoul went to Japan, and the Korean national tennis team was reprimanded for not returning home for over 10 days after attending a match in Malaysia.

Couples couldn’t even dream of traveling abroad. It was only in 1980 that married couples were allowed to travel abroad together. Nine years later, in 1989, overseas travel was freely allowed. According to the National Archive, more than 1 million people went abroad after the travel ban was lifted. But the government put a condition that all Koreans traveling abroad had to pay 3,000 won ($3) per person and spend a whole day to complete “anti-Communist education.”

Overseas travel will be made possible again if restrictions from Covid-19 are eased. As early as July, tourist groups will be allowed to travel to countries in the “travel bubble” with vaccination and negative test results. But overseas Koreans are not allowed to meet families and friends in Korea, deviating from the designated tour route. When can we enjoy the freedom of borderless travel again, look back on today and say, “Those were the days”?


해외여행
김현예 P팀 기자


①14세 이상의 남성 중 병역 미필자
②여성.

정부가 앞장서 “이들은 절대 안 된다”를 외쳤던 시절이 있었다. 금지 대상은 해외여행. 나라 살림살이가 팍팍하단 이유였다.

1968년 박정희 대통령은 “불요불급(不要不急)한 여행을 규제하라”는 지시를 내린다. 외화 절약이 목적으로 해외 유학을 갈 땐 정부 허가를 받도록 했다. 어렵사리 유학길에 오른 경우에도, 배우자나 가족을 해외로 초청하는 것은 불가능했다. 지금 우리 눈엔 말도 안 되는 일이었지만, 그땐 정말 그랬다.

교육공무원이 연구 등을 위해 해외로 떠난 경우엔 휴직 처리를 하고, 그 기간 중엔 급여나 연구수당을 주지 않도록 법을 정한 것도 그즈음이었는데 불똥을 맞은 건 서울대 교수들이었다. 1966년 무려 71명의 교수가 무더기 휴직 처리되었는데, 한국에 남은 가족들은 “생계를 위협받는다”며 아우성을 치기도 했다.

외국행은 당시엔 소수계층이 누릴 수 있는 특권이자, 부의 상징이었다. 이 때문에 해외여행은 사회면에 종종 등장했다. 서울의 한 사립초등학교 학생들이 일본으로 단체 해외여행을 한 것이 드러나 사회면에 올랐고, 말레이시아에서 열린 테니스 경기에 출전한 국내 대표 선수단이 대회가 끝났는데도 열흘 넘게 귀국하지 않아 징계 대상이 됐다.

부부동반 해외여행은 언감생심 꿈꾸지 못할 일이었다. 부부가 함께 해외여행을 갈 수 있게 문이 열린 건 1980년, 그러고도 9년이 지난 1989년에서야 ‘해외여행 자유화’가 이뤄졌다. 국가기록원에 따르면 해외여행 빗장이 풀리자 출국자 수는 그해 처음 100만명을 넘어섰는데, 정부는 여기에도 조건을 붙였다. 수강료 3000원을 내고 하루를 꼬박 들어야 하는 ‘반공교육’ 이수였다.

코로나19로 인해 불가능했던 해외여행이 다시 가능해진다고 한다. '트래블 버블'(여행 안전권역) 안에 들어가는 방역 안전권 국가들에 한해 백신접종과 음성확인을 거쳐 자유로운 여행을 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내용으로, 이르면 오는 7월부터 단체여행객에 한해 이뤄진다. 제한도 있다.해외교민이 지정된 여행 동선에서 벗어나 국내에 있는 가족이나 지인을 만나는 건 안 된다. 국경 없는 여행의 자유를 누리기까지, 우리는 앞으로 얼마만큼의 시간이 지나야 ‘그땐 그랬지’라며 오늘을 되돌아볼 수 있을까.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