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 birthrate now an international concern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Korea’s birthrate now an international concern (KOR)

If the alarming low birth rate continues in Korea, the country may experience a depopulation exceeding what the Black Death delivered to Europe in the 14th century. In a New York Times column titled “Is South Korea Disappearing?” Ross Douthat wrote that if Korea’s population plunges to fewer than 35 million by the late 2060s, it can “thrust Korean society into crisis.” The columnist added, “The South Korean example demonstrates that the birth dearth can get much worse much faster than the general trend in rich countries so far.” Korea’s total fertility rate, which fell to 0.78 last year, is fast becoming an international concern.

Korea’s low birth rate is nearly unprecedented in terms of the speed of decline and duration. Since the ultralow birth phenomenon first hit Korea in 2002, the trend has persisted over the past 20 years without exceeding 1.3 in total fertility rate. After the rate set another record of 0.7 in the third quarter, this year’s figure is expected to drop to 0.73, even lower than 0.78 in the previous year.

The government has spent a whopping 380 trillion won ($292.5 billion) to recover the fertility rate since 2006, but the younger generation’s avoidance to bear a child is deepening. All prescriptions didn’t work.

A recent report by the Economic Research Institute under the Bank of Korea portends a gloomy future of the country. After analyzing the reasons, impact and countermeasures against the extreme demographic structure epitomized by the ultralow birthrate and super-aged society, the report presented a pessimistic projection that our economy will most likely be headed to a growth lower than zero percent by 2050. The report also suggested solutions to lift the dismal birthrate through policy tools.

For instance, the report presented concrete solutions aimed at easing the mounting pressure on the younger generation over employment and housing. If the government pushes forward structural reforms to address the dual labor structure and high housing prices at the same time, it can elevate the lethargic birthrate, the report stressed. It also recommended that the government draw up children-oriented policies beyond the traditional boundaries of legal marriage to avoid an imminent population cliff. If such policies can raise the birthrate by 0.2 percentage points, Korea’s potential economic growth will go up by 0.1 percentage point, the report says.

Korea faces an unheard-of population crisis. We do not have time to dilly-dally anymore. Only when the government starts structural reform to sustain society and abandons all discrimination against kids born out of wedlock will the country not disappear.
 
 
 
'나라 소멸' 세계의 걱정거리 된 한국 저출산
 
NYT, "유럽의 흑사병 때 버금가는 인구 감소 위험"
출산 막는 청년 불안 해소할 실질 행동이 시급해
 
 
한국의 심각한 저출산 추세가 지속한다면 흑사병 창궐로 인구가 절반가량 급감했던 지난 14세기 유럽보다 더 빠르게 인구가 감소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뉴욕타임스는 최근 '한국은 소멸하나?(Is South Korea Disappearing?)'라는 제목의 칼럼에서 "지금처럼 급격한 인구 감소가 향후 수십 년 동안 지속할 거라고 보진 않지만 한국 통계청의 인구 추계대로 2060년대 후반에 3500만 명 이하로 떨어지는 정도만으로도 한국 사회를 위기로 몰아넣기에 충분하다"고 우려했다. 또 "한국 사례는 다른 선진국에서도 저출산 문제가 훨씬 빠르고 심각하게 찾아올 수 있다는 걸 보여준다"며 "우리(미국)에게 일어날 수 있는 경고"라고 했다. 지난해 우리의 합계 출산율이 압도적인 세계 꼴찌(0.78)로 떨어지면서 점점 세계의 걱정거리가 된 양상이다.  
 
칼럼의 지적대로 한국의 저출산은 속도와 지속 기간에 있어 전 세계적으로도 유례를 찾기 힘들 정도다. 2002년 처음으로 초저출산 현상(합계출산율 1.3명 미만)이 시작된 이래 20년 넘게 단 한 번도 1.3을 회복하지 못하고 추락을 거듭하고 있다. 3분기 합계출산율 0.7로 또 한번 역대 최저를 기록하면서 올해 합계출산율은 지난해보다 더 떨어진 0.73에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저출산에 대응한다며 정부가 2006년부터 지금까지 쓴 예산이 무려 380조원에 달하지만, 출산 기피는 오히려 더 심화하고 있다. 숫자만 보면 그야말로 백약이 무효다. 원인과 해법을 몰라서라기보다 제대로 실천하지 못한 탓이 크다.  
 
한국은행 경제연구원이 3일 발표한 '초저출산 및 초고령 사회 극단적 인구구조의 원인, 영향, 대책' 보고서만 봐도 이런 상황이 잘 드러난다. 보고서는 저출산에 따라 인구 구조가 급속하게 고령화하면서 2050년께 0% 이하 성장율을 보일 확률이 68%에 달한다는 비관적 전망을 했다. 동시에 정책적 노력을 통해 출산율을 끌어올릴 수 있는 해법도 실증적으로 제시했다.  
 
가령 저출산의 핵심 원인이 청년층이 겪는 경쟁 압력과 고용·주거 불안인 만큼 경쟁 압력을 낮추기 위한 제대로 된 지원책을 내놓고 노동시장 이중구조, 높은 주택 가격과 같은 구조적 문제에 대한 개혁을 동시에 한다면 출산율 상승을 견인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또 부모와 법률혼 중심의 정상 가정을 전제로 하는 지원체계를 넘어 혼인 여부와 상관없이 아이 중심의 지원체계로 나아갈 것을 권유했다. 이런 방식으로 출산율이 0.2만 올라도 2040년대에 잠재성장률은 0.1%포인트 높아진다고 한다.  
 
지금 한국은 절체절명의 위기에 놓여 있다. 머뭇거릴 시간도 없다. 하루 빨리 지속가능한 구조개혁에 나서는 동시에 혼외자 차별 같은 고루한 인식을 바꿔야 나라가 유지될 수 있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