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reinterpretation of Plato’s geomancy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A reinterpretation of Plato’s geomancy (KOR)

SHIN BOK-RYONG
The author is former emeritus professor of history at Konkuk University.

In the West, geomancy has continued to be an important part of geography since Plato. His theory is documented in detail in Book V of “The Laws.” His ultimate focus was the construction of a capital. He argued that a capital should b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territory for easy access. In that sense, Gyeongju during the Silla Dynasty and Hanseong in the Baekje Dynasty were not appropriately located, as they were not at the center of the countries, not to mention Washington D.C. and Moscow today.

Plato emphasized water as the most important element. A capital should have water running within or around it, as water is essential in human life. People cannot live far from water, which is used for drinking, transportation, climate and defense. In that sense, Seoul, Pyongyang, Buyeo and Paris are ideal capitals.

The second condition for a capital proposed by Plato is wind. He may not have had air pollution in mind at the time, but in a modern city, air circulation has been the biggest concern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The cities that most contradict Plato’s theory on capital location would be Daegu and Beijing, which are located in basins. It is widely known that the average life expectancy of Beijing residents is lower than that of other regions.

The third condition is what Plato called “geothermal energy,” probably meaning a South-facing location. An ideal capital should not be either mountainous or in a field. When these conditions are met, 5,040 would be an ideal population, according to his theory, and modern social science is yet to solve this riddle. Perhaps he was aiming for what Laozi described as “the distance where you can hear chickens cackling and dogs barking” in the Tao Te Ching.

Now, the specter of a “mega city” is hovering across the country in Korea. There may be a theory of its own, but it is not easy to incorporate Gimpo City into Seoul through a narrow corridor. Policy proposals recklessly offered up by candidates to win votes in the April 10 parliamentary election are upsetting the country again.
 
 
 
플라톤의 도시계획론
신복룡 전 건국대 석좌교수(역사학)
 
서양에서도 풍수지리학(Geomancy)은 플라톤 이후에 중요한 인문지리학으로 이어오고 있다. 그의 이론은 『법률학』(The Laws, Book 5)에 자세히 기록돼 있다. 그의 궁극적 관심은 도성(都城) 건설이다. 도성은 접근이 편리하도록 국토의 중앙에 위치해야 한다. 이런 관점에서 신라의 경주와 백제의 한성, 그리고 워싱턴과 모스크바는 입지가 잘못됐다.  
 
플라톤이 첫번째로 강조한 것은 물이다. 도성 안으로 물이 흐르든가, 물을 끼고 있어야 한다. 인간의 삶은 결국 물이다. 그것이 식수든, 운송이든, 기후든, 방어진(防禦陣)이든 인간은 물을 떠나 살 수 없다. 그런 점에서 서울·평양·부여·파리가 매우 이상적 도성이다.  
 
통일 이후의 도읍지로 거론되는 경기 파주도 길지(吉地)다. 플라톤이 두번째로 강조한 도읍 입지는 바람이다. 그 시대에 이미 공기 오염을 생각하기야 했을까마는 현대 도시에서도 통풍은 산업혁명 이후 최대 관심사다. 플라톤의 도읍 입지 이론에 가장 배치되는 도시가 분지로 이뤄진 대구와 베이징이다. 베이징 시민의 평균 수명이 다른 지역에 견주어 낮다는 것은 이제 공론이 됐다.  
 
세번째로 플라톤은 지열(地熱)이라는 용어를 쓰고 있는데 아마도 남향 지역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자면 도읍은 산도 들도 아닌, 비산비야(非山非野)가 좋다. 이런 조건을 갖췄을 때 인구는 5040명이 가장 이상적이라는데, 현대 사회과학은 아직도 이 수수께끼를 풀지 못하고 있다. 아마 노자가 도덕경(道德經)에서 말한 '닭 우는 소리와 개 짖는 소리가 들리는 규모'를 뜻하는 것이 아닌가 여겨진다.  
 
지금 한국에는 '메가시티'라는 유령이 전국을 떠돌고 있다. 나름의 이론이 있겠지만, 김포를 회랑으로 연결해 서울에 합치는 것은 순리가 아니다. 표만 얻을 수 있다면 마구 내지르는 정책이 나라를 어렵게 만들고 있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